컨베이어(Conveyor ; 컨베이어 벨트)
1 컨베이어 구조
1) 구조
2) 특성
- 분산물의 대량운반이 가능하며 수송단가가 낮다.
- 운반의 범위가 넓다.
- 운반거리가 길고 설치시 조건이 간단하다.
3) 성능
- 벨트폭, 벨트속도, 전체길이, 최대경사각도로 구분.
4) 기본장치
① 기동장치(구동장치)
- 체인연결방식 : 감속모터 + 풀리 또는 모터 + 감속기 등 사이에 체인으로 연결하는 방식. 컨베이어의 속도조절이 가능하다.
- 직결식 : 감속모터와 풀리가 커플링으로 직결되어 동력전달되는 구조. 구조가 간단하나 가속 토오크 제어가 어렵다.
② 롤러(캐리어 롤러)
- 벨트의 형태를 유지하고 하물을 지지한다.
- 재료를 적재 운반할 때에 지지하는 캐리어 롤러, 되돌아올때 지지하는 리턴롤러, 벨트가 벗겨지는것을 방지하는 안내롤러, 충격을 완충하는 완충롤러가 있다.
- 롤러의 종류
a 일반 캐리어 롤러(플랫형,평저형) : 일반 중량물 운반용
b 트러프형 롤러(trough type) : 롤러3조로 기본구성. 분산된 화물 운반용.
c 임팩트 캐리어 롤러 : 이송물이 충격을주며 컨베이어로 떨어질경우 롤러의 홈이 충격을 흡수한다.
d 자동 조심 롤러 : 벨트의 쏠림 방지, 중앙으로 컨트롤하는 롤러
* 자동조심 : 기구적 또는 동력원을 통해서 운전간 편심을 방지하여 원상태로(중앙으로) 조율하는 것.
③ 제동장치
- 전자브레이크 : 가혹조건에서 제동
- 전동유압브레이크 : 구조가 간단하고 견고함
- 와이어로프 비상정지장치 : 레버와 와이어로프 기구에 의해 비상시에 수동으로 제동
④ 안전장치
- 역회전방지장치
* 용도 : 컨베이어 상부에 중량물이 올려진채로 정지하면 벨트에 실려있는 하물이 관성에 의해 벨트가 역주행할 수 있는데, 이러한 벨트의 역회전을 방지하는 장치
⑤ 벨트
- 재료를 적재 운반하는 부분품으로 고무벨트를 가장 많이 적용한다.
- 설계기준
* 벨트길이 : 벨트의 기장이 길고 이동속도가 느릴수록 벨트의 굽힘횟수가 저하되어 벨트수명이 길어진다.
* 풀리의 크기가 작을수록 경제적이나 작은굽힘으로 인한 피로로 수명단축됨
- 벨트의 종류
* 내열벨트
* 내유벨트
* 고무형, 강형, 직물재등
2 컨베이어의 운영
1) 설치/설정시 점검 및 결정사항
- 운반재료의 성질 및 형상조사
* 운반재료의 최대크기, 비중, 온도, 점착도, 입도분포상태등 조사
- 소요 운반량 결정
- 위치 및 기장 결정
- 운반능력 계산
* 운반능력은 벨트폭, 벨트속도, 쵀대경사각도, 운반재료의 종류에 따라 달라짐.
- 수송 속도 결정
* 벨트속도는 빠르면 효율이 증가하나, 운반재가 미끄러지기 쉽다. 또한 속도는 설치경사각까지 고려해야한다.
2) 소요동력(kW)
- N=N1+N2+N3
N1:무부하동력, N2:수평부하동력, N3:수직부하중량
3) 운반능력
- Q=60AV=60kb^2 x V
4) 컨베이어의 종류
- 벨트 컨베이어
- 스크류 컨베이어
* 반원형 U자형 단면을 가진속에 긴 강판제의 스크류를 조합하고 스크류의 회전방향으로 분상의 재료를 이송하는 컨베이어.
* 시멘트 모래 곡물등의 소량 분상의 재료 운반에 적당하다.
* 경사가 있을때 작업능력이 급격히 저하되므로 15도 이내 소경사의 운반에 적용한다.
- 버켓 컨베이어
* 수직, 경사 상태에서 운반하기 적당한 컨베이어.
* 정상부에 구동장치, 저부에 긴장장치를 설치하고, 벨트/체인중간중간에 버켓을 달아서 운반하는 방식.
3 컨베이어의 관리
1) 컨베이어 점검사항
- 작업 전 중 후, 각종 안전장치 점검.
- 벨트가 긴장상태로 되어있는지 확인(이완상태시 조정필요).
- 최대적재하중과 모터의 구동능력 확인.
- 운반중 운반물의 낙하발생 유무를 확인.
2) 벨트교환의 기준
- 벨트의 수리가 불가능하거나 수리비가 과도할때
- 벨트의 손상발생시
* 고무의 마모로 프레임이 드러날때
* 열화변형이 심할때
* 벨트가 절단될때
3) 벨트의 수명계산
- 운반조건에 따른 영향
* 실내외 조건
* 과부하여부
* 충격방지 적용여부
* 벨트의 오주행