용접 기본 이론
1 용접입열량
1) 용접입열량 정의
- 용접시 모재와 용접봉이 용융되어 용접물이 되기 위해 소요되는 전기에너지
- 용접부에 가해지는 열량(Q)
* Q=60EI/v
2) 입열량의 역할
- 모재가열(70%)
- 용접봉 용융(20%)
- 용착금속생성(10%)
- 입열량의 과다 영향
* 용락이나 언더컷 발생
* 냉각속도가 길어져서 조직이 조대해진다.
- 입열량의 과소 영향
* 용융 및 용입의 불량 발생.
* 냉각속도가 빨라서 조직이 미세해지고 균열이 발생할 수 있다.
3) 용융속도
- 단위시간당 소비되는 용접봉의 양
* 용융속도 = 아크전류 x 용접봉측 전압강하
- 용접전류에 비례(전압, 용접봉 지름과 무관)
2 전류와 전압
1) 전류
- 용접봉의 용융속도에 영향을 미친다.
- 사용전류범위는 50~400A(적정용접 전류는 용접봉 직경 1mm당 40A 수준)
- 전류의 영향
* 전류가 높으면 아크가 불안정해지고 용접금속의 산화 / 질화가 발생한다.
* 전류가 낮으면 아크유지가 어려워 작업성이 떨어짐. 용입이 낮고 슬래그 혼입이 자주 발생.
2) 전압
- 용접시 모재와 용접봉 끝사이에 발생하는 전압
* 아크길이와 전압은 비례한다.(모재와 용접봉사이의 거리를 전압으로 이해할것.)
- 아크길이는 용접봉 지름정도 생성됨.
- 전압은 플라즈마 발생을 가속하는 역할을 하며 용접금속의 이행형태에 영향을 미친다.
- 전압이 커질수록 용융금속에 가해지는 압력이 커지고 용접금속의 폭이 넓어진다.
3 전원 및 극성
1) 직류
- 극성이 발생한다
- 양극에서 발열양의 70%가 발생하므로 역극/정극에 따라 용접형상이 달라진다.
* 모재가(+) / 용접봉(-)로 설정되면 정극성(용접봉에서 모재로 전자의 이동 발생)
* 직류 역극성(DCSP) : 용접봉의 용융이 빠르고 넓다. 주철 박판 고탄소강에 적용함
* 직류 정극성(DCRP) : 모재의 용융이 빠르고 깊다. 후판 용접시 적용
2) 교류
- 용입깊이가 중간이다.(직류정극>교류>직류역극)
- 안정된 아크를 얻을 수 있다.
- 자기쏠림이 발생하지 않는다.
- 용접기의 취급이 간편하고 효율이 좋으며 구조가 간단하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