기계공학/기계요소

미끄럼베어링(슬라이딩베어링 ; sliding bearing)

chief Artisan 2025. 1. 3. 05:00
반응형

1 미끄럼 베어링
 1) 정의
   - 축(저널)과 베어링 사이에 윤활유 유막이 형성되어 미끄럼에 의한 상대운동을 지지하는 것.
   - 하중의 방향과 특성에 따라 다양한 형상과 조합이 가능하다.
     * 미끄럼베어링은 구름베어링과 달리 장치로 구성되어 있지 않은 경우가 많음
     * 하중의 지자방향은 반경방향, 축방향, 조합으로 구분된다. 
 2) 특징
   - 고하중, 저속운동을 하는 기계요소에 널리 사용된다.
   - 내충격성을 가지면서 큰하중에도 견딜수 있다.
   - 미끄럼베어링은 베어링과 저널사이에 형성되는 얇은 유막을 통해 하중을 지탱하는데 베어링면의 상대 미끄럼 운동에 의해 쐐기모양의 오로가 형성되고 쐐기형 유막작용에 의해 주위의 오일이 말려들어가는 방식(쐐기효과(wedge effect))
     * 유막은 오일에 의해 완전하게 분리된 유체윤활상태 / 미끄럼면이 부분적으로 접하는 경계윤활 상태로 구분한다. 초기에는 경계윤활을 유지하다가 쐐기효과에 의해 유체윤활로 바뀐다.
 3) 종류
   - 정압베어링(hydrostatic bearing) / 동압베어링(hydrodynamic bearing) : 정압베어링은 회전 정밀도가 우수해야함.
   - 오일베어링 / 에어베어링 : 축과 베어링 사이에 작용하는 유체 형태로 오일베어링이 일반적이나, 급유가 어려운 부위에는 에어베어링을 적용한다.

2 미끄럼베어링의 페트로프 법칙
 1) 관련공식


    n:점성계수  N:원주속도 p:유체마찰력 r:축반경 d:축과원통의틈새
 2) 특징
   - 회전속도가 빠를수록 유막은 두꺼워진다.
   - 저속중하중은 유막의 파괴가 쉽다.
   - 고속저하중은 완전한 유체윤활 상태가 가능하다.
     * 고속저하중시 요동이 가능한 여러개의 패드로축을 지지한 필매틱 베어링을 사용한다.
3 미끄럼베어링과 구름베어링의 차이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