chief Artisan 2024. 7. 4. 11:00
반응형

1 세척

 1) 정의

    - 기구 및 용기, 설비등의 표면에서 불특정 이물질과 기타 유기성분을 제거하는 일련의 작업 과정.
 2) 세척의 종류


 3) 세척제의 종류

  ① 제조방법에 의한 분류

     - 비누, 합성세제

  ② 용도별 분류

     - 세정용 : 세수비누, 물비누, 샴푸, 린스

     - 가정용 : 주방용세제, 세탁용 비누, 세탁용 가루비누

     - 산업용 : 정련, 세척, 염색 등에 이용

   ③ 특성별 분류

     - 수계 세척제 : 물에 여러가지 성분이 포함

     - 준수계 세척제 : 물에 용해되는 유기용매 포함

     - 비수계 세척제 : 헥산 같은 불용성 유기용매 포함

   ④ 세척제의 분류

     - 계면활성제

     - Builder

     - 경수연화제

     - 알칼리 첨가제

 4) 세척제 조건

   - 세척후 기계장치의 외관으로부터 오염결착을 완화해야한다.

   - 오염물 제거가 용이해야한다.

   - 무독성 및 생태학적 안전성 확보되어야 한다.

   - 헹굼력이 좋고 헹굼이 용이해아한다.

   - 경제성이 있고 쉽고 공급 수급 가능해야한다.

 5) 세척의 원리

   ① 피세척물에 붙어 있는 때와 세척액 사이의 표면장력을 낮춤

   ② 세척액의 습윤 침투작용에 의해 때를 분리

   ③ 미세한 입자로 분산 현탁
      cf. 현탁 : 액체 속에 고체의 미립자가 분산되어 있는 현상
 
2 방청

 1) 방청작업의 정의
   - 금속표면에 피막을 만들어 공기나 수분의 접촉을 차단하여 금속표면의 녹 발생을 방지하는 작용을 통칭.
   - 녹(발청) : 상온의 대기중, 철면으로부터 변화하여 표면이 거칠고 조잡한 상태가 되는것.

     * 불용성의 산화제이철을 주성분으로하는 부식생성물을 말한다.
     * 철강표면에 강력한 흡착막의 장벽을 형성하는 물질.

 2) 방청제

   - 금속표면에 도포하여 피막을 형성함으로 환경중의 물 및 산소를 차단하여 방청.

   - 방청유는 부식억제제인 방청첨가제를 주성분으로 한다. 이것에 석유계 용제를 첨가한 것으로 필요에 따라 첨가제의 양/종류를 달리함.

 3) 방청제의 요구사양

   - 방청성(내식성) : 공정간 대기기간을 고려해 양호한 방청성능이 있을 것.

   - 수치환성 : 습윤한 환경(또는 우기) 및 일교차에 의한 결로에 대처 할 수 있을 것.

   - 피탈지성 : 탈지 Line에서 용이한게 제거될 것.

   - 세정성 : Leveling 작업시 강판표면에 이물 세정성이 양호할 것.

   - 작업성 : 저점도로 경화등 변화가 적어야한다.

   - 안정성 : 인체에 무해할것.( 냄새, 피부염등이 양호할 것)

   - 인화점 : 화기에 안전하게 인화점이 높을 것

   - 내 Oil stain성 : 현장보관시 Oil stain 발생 없을 것.

 4) 방청제의 도포

   - 침적 도포법(침지법, dipping) : 방청제의 유욕 중에 금속제품을 담궈서 방청피막을 형성하는 방법. 탱크 용량이 커지고, 위험성이 있다.

   - 분무법(Pump Spray, Can Spray) : 에어로졸이나 분사 노즐을 이용하여 가스 압력 또는 압축 공기에 의하여 분무하여 적용하는 방법. 작업환경을 해치기 쉽다.

   - 브러시 도포법(Brush) : 옥외 건조물 및 특수형상 제품으로 침적법이나 분무법이 적용되지 않을 때 사용. 작업자의 스킬이 필요하다.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