하수처리 및 하수처리과정
1 하수처리개요
1) 하수처리
- 오염된 물을 한곳으로 모아서 재사용 가능한 상태의 물로 만들어 하천 또는 용수로 재사용할 수 있게 만드는 처리과정.
- 하수도 : 하수와 분뇨를 유출 또는 처리하기 위해 설치되는 하수관로.
2) 하수처리 목적
- 도시의 오수, 축산폐수, 산업폐수등을 처리한 후 공공수역으로 방출함으로 쾌적한 생활환경을 조성하기 위함. 공공수역의 수질보전.
3) 하수처리 주요기능
- 고형물 제거 : 하수속에 포함된 무기물(토사, 모래) 및 쓰레기 제거.
- 오염유기물질 제거 : 하수속의 유기물질을 호기성 박테리아 배양을 통해 분해 제거.
- 슬러지 감량 : 혐기성박테리아를 통해서 슬러지 분해 및 감량.
4) 하수처리방법
① 물리적처리
- 원수나 폐수 내 불순물을 침전 여과하여 제거하는 방법.
* 스크린, 필터, 여과망등을 사용.
- 스크린, 혼합, 응결, 침전, 부상, 세척, 여과, 건조가 이에 해당함.
② 생물학적처리
- 각종 세균, 박테리아 및 미생물을 이용하여 유기물을 안정된 물질로 분해하는 방법
- 혐기성, 호기성, 무산소 방식이 있음
③ 화학적처리
- 부유물질 및 탁도 제거를 위해 응집제 주입, 인의 제거등이 해당함.
- 이온교환 또는 화학약품 처리방법이 있음.
2 하수처리과정
1) 하수처리과정
① 유입 및 침사지
- 유입되는 하수 중 비중이 큰 돌 자갈 모래는 침전시키고 비닐, 플라스틱등 부유물은 스크린을 통해 제거함
② 1차 침전지
- 자연적인 침전으로 바닥에 가라앉는 물질과 물위에 뜨는 물질을 분리하여 침전가능한 물질을 제거
③ 생물반응조
- 미생물에 의해 오염물질을 제거
- 산소와 하수를 잘 접촉시켜 오염물질을 제거하고 공기를 불어넣어 미생물을 증식함.
④ 2차 침전지
- 증식된 미생물을 침전시켜 ㅁ락고 깨끗한 처리수를 많듦.
⑤ 총인 처리 설비
- 응집제를 살포하여 하수중 포함된 인을 응집시키고 여과하여 총 인과 부유물질을 제거함.
⑥ 소독설비
- 태양광의 자외선을 이용하여 물속의 세균과 대장균을 소독하고 감염병을 예방함.
⑦ 최종방류
- 하천으로 방류하거나 농업용수나 공업용수로 재사용됨.
2) 슬러지 처리과정
① 농축조 : 하수처리과정 중에 1차 침전지와 2차침전지에서 생긴 슬러지를 농축하는 곳
② 소화조 : 농축된 슬러지를 부패시켜 부피를 줄이고 발생된 가스를 회수하여 연료로 사용.
③ 탈수기 : 슬러지의 수분을 제거하여 케이크 상태로 만들어 처분.
④ 최종처분 : 매립시설 복토 및 퇴비화 시멘트 원료로 사용하는 등 다양하게 활용됨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