송풍기(fan, blower, compressor)
1 송풍기의 개요
1) 정의
- 유체의 흐름을 만들어서 유량을 만들고 공압을 형성하는 장치
2) 구성
- 송풍기는 공기 유동을 일으키는 날개차(impeller), 날개차로 들어가고 나오는 유동을 안내하는 케이싱(casing)으로 이루진다.
- 날개차의 개수 및 케이싱의 형상으로 압력과 유량을 규정할 수 있다.
2 송풍기의 분류
1) 팬(fan)
- 0.1bar(10kPa) / 1,000mmAq 미만
2) 송풍기(blower)
- 0.1~1bar / 1,000~10,000mmAq
- 압축비가 작고 토출압력 1.5~2.0kg/cm2 이하 정도의 성능을 갖는 것
- 날개차 또는 로터의 회전 운동에 의해 기체를 압송하여 압력비(壓力比)가 1.1 이상 2.0 미만
3) 압축기(compressor)
- 1bar / 10,000mmAq 이상
- 토출 압력 1.5kg/cm2 이상, 압축비 2 정도 이상의 것
- 압축비가 크기 때문에 기체의 온도 상승에 대응하여 냉각할 필요(단열압축)
3 송풍기의 종류(유동의 특성에 의한 분류)
1) 축류형 송풍기(Axial-flow fan)
- 블레이드(프로펠러)적용, 양력이용
- 공기의 유동이 날개차의 회전축과 평행 방향으로 발생, 날개차 입구와 출구의 유동 방향이 모두 회전축과 일치
- 프로펠러형 송풍기 형태
- 가해준 에너지가 주로 유체의 속도를 증가시키는 데 사용되며, 따라서 유량은 많이 필요하나 압력은 그리 필요하지 않은 곳에 사용
2) 반경류형 송풍기(Radial-flow fan)
- 원심형 송풍기. 볼류트(volute) 송풍기.
- 임팰러를 통한 원심력형성.
- 유량보다는 압력이 필요한 곳에 많이 사용
- 보통 날개차 입구 유동은 회전축 방향이나 출구 유동은 회전축의 직각 방향이 되도록하며, 나선형의 케이싱을 사용.
- 날개차 입구 유동과 출구 유동이 둘 다 회전축 방향이 되도록 튜브형 케이싱을 사용하는 경우로 크게 구별된다.
3) 혼합류형 송풍기(Mixed-flow fan)
- 송풍기는 날개차 내에서 축 방향과 반경 방향의 유동이 같이 존재하는 경우.
- 유량과 압력의 증가가 동시에 요구될 때 사용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