현가장치(Suspension)
1 현가장치 개요
1) 현가장치의 목적
- 차량프레임과 차축 사이의 완충장치로 차축에서 발생 또는 전이된 충격이나 진동이 프레임에 전달되는것을 완화하는 장치
- 승차감을 향상시키며 적재물을 보호하고 무리한 충격으로 파손을 방지한다.
- 차량 자세를 안정된 상태(설계시 상태)를 유지하는 장치
2) 현가장치의 구성
① 쇼크업쇼버 - 뎀퍼
② 스프링
③ 서스펜션암
④ 스테빌라이저 : 안티롤바, 좌우서스펜션을 연결
2 현가기구의 종류
1) 판스프링
- 강판의 탄성을 이용하여 제작할것
- 완충이 확실하다
- 구조가 간단하고 내구성이 강하다
2) 코일스프링
- 제작비가 적고 작용이 효과적이다.(단위중량당 에너지 흡수가 판스프링보다 크다)
- 손상이적다
- 좌우유동이 발생하므로 쇽업쇼바를 병용한다. 구조가 복잡하다
3) 공기스프링
- 벨로우즈형, 다이어프래형, 복합형등이 있다.
- 고유진동수를 낮게 할 수 있다.
- 공기스프링 자체에 감쇄성이 있다. 작은진동을 효과적으로 흡수 가능하다.
3 현가장치(서스펜션)의 종류
1) 차축현가식
- 구조가 간단하며 가격이 저렴하다.
- 충격 흡수력이 낮다.
- 리지드 액슬 서스펜션이라고 부른다.
- 좌우바퀴가 하나의 축에 연결된 구조이다.
- 대형건설기계에 적용한다.
2) 독립현가식
- 구조가 복잡하나 승차감이 우수하다
- 인디펜던트 서스펜션
- 승용차에 많이 적용중이다.
a 맥퍼슨스트럿(Macpherson strut) : 1개암, 구조가 간단하고 제작 용이. 가장 많이 사용됨.
b 더블 위시본(double wishbone) : 2개암, 승차감을 높이나 하부 구조가 복잡해짐.
c 멀티링크 : 3~5개 암 연결, 승차감 향상, 제작 비용 증가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