기계공학/기계공학일반

점도지수(VI ; viscocity index)

chief Artisan 2025. 4. 4. 05:00
반응형

1 점도지수 개요
 1) 점도지수 정의
   - 유압유는 온도가 변하면 점도도 변하는데 온도변화에 대한 점도 변화의 비율을 말한다.

 2) 점도지수의 판단
   - 일반적으로 온도에 따른 오일의 특성 변화가 적은것이 우수한 오일이라고 평가한다.
     * 오일의 점도와 온도의 관계를 나타낸 것으로 일반적으로 온도가 상승하면 오일의 점도는 낮아지고 높아지면 점도가 낮아지는데, 점도지수가 높다는것은 온도의 변화에 대한 점도변화가 적다는 의미를 가진다.
   - Viscocity Index ; VI지수로 표현된다.
   - 점도지수는 나프탄계 걸프만 원유와 파라핀계 펜실베니아 원유의 중간으로 측정된다.
     * 파라핀계열(펜실베니아)은 VI 가 높고 나프탄계(걸프만)는 VI가 낮다.
 3) 계산 및 산출 

   - 관련 도식 : 측정오일의 온도-점도 곡선이 VI=100 인 기준유의 온도점도 특성곡선에 접근하는 비율을 백분율로 표시한 것.


   - 해석

    L : VI=0인 기준유 100F에서의 점도(나프탄계 걸프만원유)
    H : VI-100인 기준유 100F에서의 점도(파라핀계 펜실베니아원유)

2 점도지수 특징
 1) VI의 해석
   - VI값이 큰것일수록 온도에 대한 점도 변화가 적은 오일이다.
   - 점도지수 계산하는 방법은 40℃ 에서의 동점도와 100℃ 사이의 동점도 변화를 계산하는 것이다.




 2) 점도지수와 성능
   - VI가 낮은 오일은 점도의 변화가 큰것으로 점도가 높으면 마찰에 의한 손실이 커지고 점도가 낮아지면 유출이 쉬워진다.
   - 보통 유압유의 VI값은 90~120이 적당하다.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