기계공학/기계공학일반

타이어의 마모

chief Artisan 2025. 4. 8. 05:00
반응형


1 타이어의 마모 개요

 1) 타이어 마모의 원인
   - 구동 및 제동간 발생한 마모
 2) 마모에 의한 현상
   - 하이드로플래닝(마찰력 저하로 차량조정이 불가한 상태) 
   - 웻그립(젖은 노면접지력)

 3) 타이어 마모의 영향요인
   - 부하능력 : 타이어가 건설기계의 하중을 견디는 정도로 건설기계의 고도화 대형화로 인해 상향된 부하능력이 요구됨.
   - 내마모성 : 타이어의 소재 및 형상으로 제어됨.
   - 견인력 : 차량의 마찰력과 연관되며 마찰계수(견인계수)는 타이어의 마모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침.
 4) 타이어 마모의 방지
   - 너무 높은 공기압상태로 주행하지 않을것(규정된 공기압 사용)
   - 급발진, 급정지등의 주행을 하지 않을것.
   - 초과 적재시 저속운전할 것.

2 타이어의 마모 종류
 1) 조기 마모
   - 급가속 급제동시 과도한 슬립으로 인한 마모 현상
   - 일반차량의 경우 앞바퀴에 하중이 많이 분배되기 때문에 발생함.
 2) 양 숄더부 마모
   - 트레드 원주상 양쪽면이 조기 마모되는 현상
   - 공기압이 낮은 상태로 저속주행할 경우 발생
   - 공기압준수 및 스키드 깊이 1.6mm 이하일경우 교체 진행
 3) 센터부 마모
   - 트레드 원주상 중앙부위가 조기 마모되는 현상
   - 고압 과하중 상태로 주행할때 발생
   - 10,000km 이내에 타이어 위치 교체 실시로 예방 가능
 4) 대각마모
   - 트레드 숄더부에서 반대쪽 숄더부 이어지는 형태로 마모되는 현상
   - 급작스러운 조향으로 미끌림이나 브레이크 잠김으로 발생
   - 휠 얼라이먼트를 교정
 5) 깃털마모
   - 리브형 타이어에서 리브한쪽면이 연속적으로 마모되어 나머지 리브와 높이차이가 발생하는 현상
   - 급코너링이나 미끌림이 있을때, 서스펜션 축 휠베어링 부품에 결함이 있을때 발생
   - 휠얼라인먼트를 교정
 6) 편마모
   - 트레드 원주상 한쪽면의 조기마모되는 현상
   - 부적절한 휠얼라인먼트, 장착불량, 휠불량등으로 발생함.
   - 타이어의 좌우교환, 전후교환 시기를 준수하여 예방
 7) 국부마모
   - 타이어의 특정부위에서 국부적으로 마모되는 현상
   - 스키드 깊이 1.6mm 이하일 경우 코드노출시 교체
 8) 톱니마모
   - 블록마모가 불규칙적으로 발생하여 높이차이가 발생하는 현상
   - 타이어 위치교환시기를 준수하지 않거나 부적절한 휠을 사용할 경우 발생
   - 특정한 시점에 전륜과 후륜을 교체, 휠얼라인먼트 교정
 9) 완전마모
   - 일반적인 사용으로 발생하는 정상적인 마모현상
   - 스키드 깊이 1.6mm 이하일경우 코드노출시 교체

 

참고 : 

https://valuefurnace.tistory.com/244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