고온균열과 저온균열
1 고온균열
1) 고온균열 정의
- 수축응력에 의한 변형 때문에 결정입계에 존재하는 잔류 융액막이 파괴됨으로 발생하는 현상.(550℃ 부근 발생)
- 용융금속 내 종균열, 횡균열, 크레이터균열이 발생.
2) 고온균열의 특성
- 응고시 발생하나 응고후에도 진행될수 있다.
- 입계균열 발생 : 균열이 결정입계를 통과하며 발생.
-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강, 알루미늄합금등 열팽창계수가 큰 재료는 용접변형이 심하여 용접 응고시 용접금속이나 열영향부에 고온균열이 발생하기 쉽다.
- 고장력강, 저온용강, 내열강, 합금(니켈함량이 많은 스테인레스강등) 외적 구속도가 큰 용접에서 발생.
3) 방지방법
- 저수소계 용접봉으로 수동용접실시.
- 고온균열발생유발 불순물(황, 인등) 화학성분을 최소화한 용접봉사용.
2 저온균열
1) 저온균열의 정의
- 용접구조물의 사용중 200℃ 부근 비교적 저온에서 취성파괴 또는 피로파괴가 발생하는 현상.
- 강용접부의 균열발생에는 잔류응력과 융착금속내 확산성 수소가 관여된다.
2) 저온균열의 특성
- 용접방법 별 발생 경향
* 맞대기용접 : 가접 또는 첫번째 path의 루트부근 열영향부에서 발생
* 필렛용접 : 루트부근에서 발생
- 고장력강의 용접부에서 쉽게 발생함.
- 탄소량이 증가할수록 모재의 저온균열 발생.
- 용착금속 중 망간함량이 증가할수록 발생.
- 균열의 발생부위는 대부분 열경화부이고 용접금속에서도 발생함.
3) 방지대책
- 용접시 수소량을 적게함.
- 용접봉의 건조.
- 모재의 예열, 후열필요.
- 용접입열을 적게함.
- 적절한 모재와 용접재료를 선택한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