지게차
1 지게차 개요
1) 주요특징
- 화물의 적재, 적하작업과 단거리 화물의 이동작업에 사용된다.
- 규격은 견인용량(t)으로 표시한다.
- 앞바퀴로 구동하고 뒷바퀴로 조향하여 회전반경이 작다.
- 타이어는 전/후륜 모두 고압타이어를 사용한다.(실내/소형의 경우 우레탄타이어를 적용)
- 전면에 작업장치로 적재용 포트와 승강용 마스트를 갖추고 있다.
- 일반적으로 디젤엔진을 사용하나 실내작업이 많아서 가스 또는 전기로 적용된다.
2) 주요 구조
- 마스트 : 포크 높이를 결정해주는 장치이며 2~3단으로 되어있다.
* 화물 이탈을 위해 후경각 10~12도 요구
* 화물 취급을 위해 전경각 5~6도 요구
- 포크 : 짐을 직접들어주는 부분, 한쌍의 포크가 가장 일반적인 형태로 L자 형태이다.
* 기종에 따라 간격을 유압으로 조정할 수 있다.
- 백레스트 : 포크와 마스트 사이 화물이 마스트 뒤로 넘어가지 않게하는 지지대
3) 동력장치
- 클러치
- 변속기
- 조향장치
* 주로 유압식 적용
* 최소회잔빈경 1.8~2.7m
* 조향각 65~75도
- 제동장치 : 전륜에 제동장치를장착
* 대형의 경우 액슬 양끝에 감속기어가 내장되어있다.
* 진공서브(하이드로백) 을 많이 적용하고있다.
- 유압장치 : 액츄에이터를 구동하기 위한 유압유니트가 별도로 구성되어 있다.(70~130bar 수준)
4) 지게차의 종류
① 포크 및 마스트타입별
- 트리플 스테이지 마스트 : 마스트가 3단구조로 더 높은 영역까지 도달할 수 있다.
- 로드 스테빌라이져 : 압착판이 있어서 적재하물을 눌러 잡을 수 있음
- 사이드 쉬프트 클램프 : 포크가 회전하여 적재 하역
- 로테이팅 포크 : 원추형의 화물을 좌우로 조이거나 회전시켜 적재 하는것.
② 에너지원별
- 디젤 : 고출력으로 대형화가 가능하다.
- LPG : 성능저하가낮고 적고 작업환경을 깨끗하게 유지한다.
- 전기(카운터형) : 카운트웨이트가 있는 일반적인 형태의 지게차
- 전기(리치형) : 카운트웨이트가 없으며, 리치구조(마스트가 앞뒤로 움직임)가 있다.
2 지게차의 안정도
- 하역작업시 A-B 전후 안정도 4% 이내(5톤 이상 3.5% 이내)
- 주행시 A-B 전후 안정도 18% 이내 - 하역작업시 x-y 6% 이내
- 주행시 좌우 x-y 안정도 15±1.1v, 최대 40% 이내