건설기계 선정시 고려사항
1 건설기계의 구비조건
1) 내구성
- 충격, 하중, 진동등에 견딜 수 있는 구조이며 적합한 재료로 제작되어야 함.
- 작업조건을 고려하여 제작되어야 함.
2) 안정성
- 공사현장의 다양한 조건에서도 안전하게 운전할 수 있어야함.
- 돌발적인 위험사항이나 위험한 작업조건에서 운전자를 보호할 수 있는 장치 및 조치가 있어야 함.
3) 정비성
- 정비 및 수리를 간단, 용이하게 할 수 있어야 함.
- 점검, 주유, 저정등의 작업을 신속하고 요잉하게 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함.
* 주유는 집중 주유식으로 구성되어야하며 윤활유와 연료는 다양한 방식으로 주입될 수 있도록 함.
4) 범용성
- 어떠한 작업환경, 작업조건에 대응될 수 있어야 함.
- 작업 조건에 따라 운전에 불편함이나 어려움이 있어서는 안 됨.
5) 시공능력
- 최소한의 자원(인적, 물적, 비용)으로 최대의 시공능력을 발휘할 수 있어야 함.
6) 신뢰성
- 내구, 안전, 정비, 범용, 시공능력을 만족하고 고장없이 운용될 수 있어야 함.
2 건설기계 선정시 고려사항
1) 공사종류 및 작업종류(공종)
- 작업종류, 시공량, 작업장소, 토질, 지형등 현장제반사항 고려
- 시행해야할 공사를 기능적으로 분류하여 적합한 기종을 선정한다.
* 건설공사의 종류 : 토공사, 가설공사, 기초공사, 콘크리트공사, 포장공사, 터널공사등.
2) 토질 및 암질등 작업조건(작업조건)
- 작업장소의 토질 및 암질에 맞추어 대응가능한 건설기계를 선정해야한다.
* 굴삭, 적재작업시 토질, 굴삭깊이, 굴삭범위에 따라 시공법이 달라진다.
3) 작업물량과 기계조합(조합)
- 작업물량이 많으면 용량이 큰 건설기계가 유리하다.
- 특수한공법 또는 대량의 작업시 범용기계가 아닌 특수기계를 적용할 시 효율이 증대되는 경우도 있으므로 사전에 고려해야한다.
- 기 보유중인 건설기계와의 조합효율과 범용성이 높은 건설기계로 선정.
4) 공기(납기)
- 발주자의 요구에 따라 물량을 단기간에 처리하거나 시공속도를 정상속도 이상으로 조치해야할 상황이 생길 수 있다.
- 일반적으로 공기의 단축을 위해서는 대형화 건설기계 사용이 요구된다.
5) 작업환경(환경)
- 소음 진동의 허용 요구가 낮거나 제반사항(도로, 가공시설)의 방해등에 의해 건설기계 제약이 발생할 수 있다.
- 계절, 기후 및 온도에 따라서 운용가능 조건이 달라질 수 있다.
6) 경제성 분석
- 단위작업단 비용산출
- 유지비용 및 경비산출
7) 보유실태 분류
- 수급이 용이한 건설기계 선정
8) 시공능력(성능과 효율)
- 공사시공에 적합한 건설기계 선정
- 성능이 안정되고 신뢰도가 높은 건설기계
9) 기타
- 안전사고 및 돌발사태의 발생가능성
- 특수운전원의 필요여부
- 작업조건
- 정비성 및 부품 수급성 참고.
3 건설기계 설계시 고려사항
1) 구비조건
- 내구성 : 내충격성, 내마마송, 내식성, 반복응력에 대응이 가능해야함.
- 안정성 : 취급 조작 운반이 용이하며 어떠한 조건엣도 안전해야함.
- 정비성 : 어떤 장소에서든 수리정비가 가능하고 정비공이 최소화 되어야 함.
- 범용성 : 작업, 토질, 기상변화에 대응되어야 함.
- 시공능력 : 최소인원과 경비로 최대시공능력을 보여야 함.
- 신뢰도 : 제반 성능이 만족되도록 작동되어야 함.
2) 성능의 향상
- 내구성향상
a 유압호스에 프로텍터 적용품사용등
b 소재의 개량을 통한 유압부품 개선
- 신뢰도향상
a 전자공학적 작업관리 체계 구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