히빙(heaving)과 보일링(boiling)

건축기계공학 - 건축일반

2025.06.28

1

언어 : 한국어


1 히빙(Heaving)
1) 정의
- 연약한 점토 지반에서 흙막이 벽 굴삭면과 배면부의 토압차이로 흙막이 벽 배면부의 흙이 가라앉으면서 굴삭 바닥면으로 지반이 융기하는 현상.
- 히빙으로 흙막이 지보공이 파괴되고, 배면 토사가 붕괴되면, 굴착저면이 솟아오른다.

히빙과 보일링 현상

출처 : 기구미( https://www.gigumi.com/275?category=442451)


2) 발생원인
- 연약한 점토지반
- 흙막이 벽 굴삭면과 배면부의 토압차이
- 흙막이 벽체의 근입장 부족
- 지표 재하중
* 재하중 : 기초설계에 있어서 기초저면보다 상부의 흙등을 중량만 감안하여 가한 하중
3) 예방대책
- 어스앵커를 설치한다.
- 굴착주변을 웰포인트 공법과 병행한다
- 흙막이 벽의 근입심도를 확보한다
- 지반개량으로 흙의 전단강도를 높인다
- 굴착주변의 상재하중을 제거하여 토압을 최대한 낮춘다
- 토류벽의 배면토압을 경감시킨다
- 굴착저면에 토사 등 인공중력을 가한다.
- 굴착방식을 아일랜드 컷 방식으로 개선한다

2 보일링(Boiling)
1) 정의
- 사질지반에서 흙막이 벽 배면부의 지하수가 굴삭 바닥면으로 모래와 함께 솟아오르는 지반 융기현상.
- 보일링은 지반(모래)와 물이 함께 융기하는 현상으로 누수와 비슷한 파이핑과는 현상에 차이가 있다.

출처 : 기구미( https://www.gigumi.com/275?category=442451)


2) 발생원인
- 지하수위가 높은 연약 사질토 지반을 굴착할 때 주로 발생한다
- 굴착부와 배면의 지하수위의 차이로 발생한다(주요)
- 흙막이 벽의 근입장 깊이가 부족할 경우 발생한다.
- 시트파일(Sheet pile)등의 저면에 분사현상이 발생한다
- 굴착저면에서 액상화 현상에 기인하여 발생한다.
3) 방지대책
- 주변 지하수위를 저하시킨다.
- 흙막이 벽의 근입 깊이를 깊게 한다.
- 지하수의 흐름을 막는다
- 굴착한 흙을 즉시 매립하여 원상회복한다

참고) 파이핑(Piping)
- 보일링 현상으로 인하여 지반 내에서 물의 통로가 생기면서 흙이 세굴되는 현상

출처 : 기구미( https://www.gigumi.com/275?category=442451)

#파이핑 #보일링 #히빙 #지반융기 #융기현상 #흙막이 #지보공