크레인 기본동작 및 하중의 종류

기계공학 - 건설기계

2025.06.28

1

언어 : 한국어


1 크레인의 동작 및 상태

1) 크레인의 기본동작 7종

- 덤프(Dump) : 중량물 또는 흙을 하역하는 동작

- 붐호이스팅(Boom hoist) : 붐을 들어올리는 동작

- 스윙(Swing) : 붐또는 상부회전체가 회전하는 동작

- 크라우드(Crawed) : 붐이나 체인등을 당겨 흙을 파내는 동작

- 트래블(travel) : 주행, 이동을 위한 추진동작

- 호이스트(Hoisting) : 훅을 감아올려 중량물을 인양/하역하는 동작

- 리트랙트(Retract) : 크레인 셔블 당기기

2) 타워크레인 관련 용어

- 주행 : 주행식 타워크레인이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것.

- 횡행 : 트롤리 및 달기장치가 지브를 따라 이동하는것.

- 자립고 : 보조지지 또는 고정없이 안정되게 설치된 타워크레인의 높이.(마스트 최하단부~마스트 최상단부)

2 하중의 분류

1) 안정한계

- 안정한계 상태 : 평탄하고 견고한 지면위에 하물을 달아올려서 유지가능한 한계의 상태.

- 안정한계 하중 : 각 지브길이와 각 작업반경에서 안정한계상태가 되는 하물의 질량.

- 안정한계 총하중 : 각 붐의 길이 및 작업반경의 안정한계상태에서 달기구의 중량을 포함한 하중.

2) 최대정격총하중(권상하중)

- 구조 및 재료에 의해 견딜수 있는 달기구의 중량을 포함한 최대의 하중.

- 최대의 악조건(지브의 길이를 짧게, 경사각을 최대)을 가정함.

3) 정격총하중

- 지브의 특정 경사각 및 특정 길이 상태에서 훅, 슬링등의 달기구 중량을 포함하여 인양할 수 있는 최대하중.

4) 정격하중

- 실제 인양 가능한 하물의 무게로 달기구를 제외한 것.

- 타워크레인의 권상하중에서 훅, 그래브 또는 버켓등 달기구의 하중을 뺀 하중.

5) 권상하중(hoisting load)

- 크레인의 구조와 재료에 따라 부하 가능한 최대의 하중.

- 타워크레인이 지브의 길이 및 경사각에 따라 들어올릴 수 있는 최대의 하중.

6) 전도하중(static tipping load)

- 인양할 수 있는 하중 또는 적재할 수 있는 하중이 초과되어서 장비가 전도될 수 있는 하중.

7) 충격하중(impact load)

- 급격한 하중의 전이로 부재나 장비에 과도한 동적변화를 가져오게 하는 하중.

8) 안정도시험

- 크레인의 정격하중의 1.27배에 상당하는 하물을 달아서 측정하는 시험.

* 안정에 관하여 가장 불리한 조건으로 들어올려 안정도는 확인하기 위해 실시.

9) 하중시험(load test of crane)

- 크레인의 안정도를 확인하기 위해 실시되는 시험.

- 정격하중의 1.25배의 하중을 달고 인양, 주행, 선회, 트롤리 횡행의 작동으로 시험하는 것.

10) 임계하중(critical load)

- 이동식크레인이 최대로 들어올릴 수 있는 하중과 할 수 없는 하중의 경계.

* 전도지선 바깥(카운트웨이트 측)의 바퀴가 들리는 순간의 하중.

11) 기타

- 용량하중(작업하중) : 하중의 위치 및 지브의 길이에 다라 작업시 크레인이 견인 할 수 있는 하중.

- 정격하중 : 하중의 위치 및 지브의 길이에 따라 크레인이 들어올릴 수 있는 순수한 하중.

- 시험하중 : 하중의 위치 및 지브의 길이에 따라 시험을 위해 크레인이 들어올릴 수 있는 하중.


#크레인 #하중의종류 #크레인하중 #크레인하중종류 #정격하중 #권상하중 #크레인동작 #크레인7대동작