기계공학/재료공학

열처리 기본

chief Artisan 2024. 11. 10. 11:17
반응형

1 열처리의 정의
 1) 열처리

   - 금속을 특정 온도로 가열하고 냉각하여 재료에 특별한 성질을 부여하는 방법 
 2) 열처리의 종류
   - 일반열처리 : 담금질(Qeunching), 풀림(Annealing), 불림(Nomalizing), 뜨임(Tempering)
   - 항온열처리 :  오스어닐링(Ausannealing), 오스템퍼링(Austempering), 마퀜칭(Marquenching), 마템퍼링(Matempering)

 

2 일반열처리
 1) 담금질(소입 : Quenching)
   - 고탄소강을 A1, A3변태선 이상 30~50도 온도로 가열하여 오스테나이트(γ) 조직으로 만든후 급랭하여 마르텐사이트로 만드는 열처리
   - 급랭방법으로 냉각시간에 따라서 노냉, 공냉, 유냉, 수냉이 있으며 심냉(Subzero)가 있음
   - 담금질을 통해서 금속은 강화, 경화 성질을 갖게됨
   - 담금질은 표면이 매우 경화되어 취성이 발생하기 쉬움. 따라서 뜨임하여 보완
 2) 뜨임(소려 : Tempering)
   - 담금질처리된 강을 A1 이하로 가열한 후 공랭처리하는 열처리.
   - 담금질 시 발생하는 잔류응력을 제거하여 균열방지(상온취성), 강도와 인성을 보완한다.
   - 뜨임의 종류
     a 마르텐사이트 (400도) ▶ 트루스타이트 (600도) ▶ 소르바이트 (700도) ▶ 펄라이트
     b 저온뜨임 : 잔류응력을 제거하고 경도가 요구될 경우 적용. 오스테나이트 조직이 마르텐사이트 조직으로 변화됨.
       * 150도 부근에서 가열후 냉각 적용.
       * 마르텐사이트 조직을 400도로 뜨임처리하면 트루스타이트로 변화됨.
     c 고온뜨임 : 트루스타이트 조직이 소르바이트 조직으로 변화됨.
       * 500~600도에서 가열 후 냉각.
 3) 풀림(소둔 ; Annealing)
   - 풀림이란 A1~A3 변태점 이상 30~50도 로 가열후 노 내에서 서냉하는 열처리이다.
   - 풀림을 통해 강은 잔류응력 제거, 성분의 균일화, 연화, 구상화 특성을 갖게 된다.
   - 주조품, 담금질 경화품, 용접물에 시행한다.
   - 풀림의 종류
     a 완전풀림 : A3 이상 30~50도의 온도에서 가열후 서냉.
     b 확산풀림 : 1050~1300도 로 가열 후 서냉. 주괴의 편석을 제거함.
     c 응력제거풀림 : A1 이하의 온도(500~600도)로 가열후 서냉.
     d 재결정 풀림 : 600도에서 시행.
     e 구상화 풀림 : A1 변태선 아래 650~750도로 가열후 서냉. 탄화물을 구사항화 하기 위함.
 4) 불림(소준 ; Nomalizing)
  - 단조, 압연, 주조에 의해 발생된 불균일 조직을 제거하기 위해 시행함.

  - 내부응력을 제거하거나, 결정립의 미세화 균일화 강도와 인성확보, 연신율과 인성도 증가하는 특성을 갖는다.

  - 강의 A3 이상 30~50도로 가열 후 공랭하는 열처리함.

3 열처리별 특성 구분
 1) 풀림-불림 차이점
  - 풀림은 주조품, 담금질경화품, 용접물에 시행하며 잔류응력제거, 성분의 균일화를 목적한다.
  - 불림은 단조, 압연, 주조시 발생하는 경화를 제거하기 위해 시행한다.
 2) 담금질-뜨임 관계
  - 담금질 시행시 표면이 지나치게 경화되어 메짐현상이 발생한다.
  - 메짐현상을 방지하되 일정한 경도를 유지하기 위해 변태가 일어나지 않은 A1 부근까지 가열 후 서냉한다.

반응형

'기계공학 > 재료공학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구리(Cu)  (0) 2024.11.17
항온열처리  (0) 2024.11.16
철의 합금  (0) 2024.11.07
폴리카보네이트(polycarbonate)  (1) 2024.11.07
주강의 종류  (1) 2024.11.06