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
파이프 3

배관(파이프 pipe)

1 배관 개요 1) 배관의 정의   - 유체기기간 연결하거나 유체를 운반 또는 유체의 열 유동을 전달하기 위해 사용되는 중공의 단면을 가진 재료. 2) 배관의 제작   - 강관, 주철관, 합금관, 비철금속관(동관), 비금속관(PE관, PVC관, 토관, 콘크리트관).2 배관의 종류 1) 용도별 구분   ① 건축설비 배관     - 위생급수, 냉난방배관 등 일상생활을 위한 배관.     - 압력 온도의 범위 특성이 넓지 않고 재질의 범위가 넓지 않다.     - 관 간 연결은 나사이음이 일반적이다.   ② 플랜트 배관     - 발전소, 석유화학등의 송수, 송유로로 사용됨.     - 이송물의 종류가 다양하고 압력, 온도의 범위가 넓다.     - 고압(운전압력 70bar), 고온, 인화성등의 이슈로 안전성..

파이프(pipe 배관)와 튜브(tube)

1 파이프(pipe) 1) 파이프의 특징   - 호칭경은 내경기준   - 압력에 따른 관벽 두께는 스케줄넘버로 관리됨   - 압력이 작용하는곳에 적용함   - 표기 : 내경(A B size) x scheduel# 2) 관련수식   - 스케쥴 넘버(schedule No)     * P : 운전압(kg/cm2)     * S : 최대허용응력(kg/cm2)     * E : 제작계수(심리스 SPP=1, 전기저항용접관 0.85)   - 관두께 산출식     * P : 최대압력     * D : 파이프외경     * S : 최대허용응력     * E : 제작계수     * Y : 온도계수(500도 이하 : 0.4, 600도 이상 : 0.7) -> 일반적으로 무시     * A : 부식기계적 강도 나사허용치 계수 ..

배관

1 배관 개요 1) 배관의 정의   - 유체기기간 연결하거나 유체를 운반 또는 유체의 열 유동을 전달하기 위해 사용되는 중공의 단면을 가진 재료. 2) 배관의 제작   - 강관, 주철관, 합금관, 비철금속관(동관), 비금속관(PE관, PVC관, 토관, 콘크리트관).  2 배관의 종류 1) 용도별 구분   ① 건축설비 배관     - 위생급수, 냉난방배관 등 일상생활을 위한 배관.     - 압력 온도의 범위 특성이 넓지 않고 재질의 범위가 넓지 않다.     - 관 간 연결은 나사이음이 일반적이다.   ② 플랜트 배관     - 발전소, 석유화학등의 송수, 송유로로 사용됨.     - 이송물의 종류가 다양하고 압력, 온도의 범위가 넓다.     - 고압(운전압력 70bar), 고온, 인화성등의 이슈로 안..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