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
트랜드 24

스마트그리드(smart grid)

1 개요  1) 정의    - 기존전력망에 정보통신기술을 접목하여 공급자와 수요자간 실시간으로 전력정보를 교환하는 고도화된 전력 활용 체계.  2) 특징    - 에너지절약, 신재생에너지보급확대등을 기대할 수 있다.    - IT통신망을 통해서 공급자와 수요자가 쌍방향으로 전력 정보를 교환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에너지를 사용가능.    - 발전, 송전, 배전 모든영역에서 활용 가능함.    - ICT기반의 광역 모니터링 및 제어 기술로 광범위한 지역 및 원거리의 영역에서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제어가 가능하다.  3) 개념도 2 구성  1) ICT와 자동제어기술    - 원거리의 전력망 정보를 실시간으로 취합 분석하는 체계.    - 분산된 발전 시스템을 하나의 발전형태로 가상통합한 VPP(virtu..

트랜드/신기술 2025.03.10

수소연료엔진 / 수소엔진 / 수소연소엔진

1 수소연료 엔진 개요  1) 수소 연료 엔진 정의    - CI 엔진을 기본으로 연료를 가솔린 또는 디젤이 아닌, 수소로 사용하는 엔진      * SI엔진 : Spark Ingnition Engine(불꽃점화엔진)      * CI엔진 : Compression Ignition Engine(압축착화엔진)    - 기존 내연기관 자동차들과 똑같이 수소를 산소와 폭발적으로 연소시켜서 구동력을 얻는 방식  2) 개발 개요    - 지구온난화 방지대책, 정부정책 '탄소제로'    - 수소에너지 기술은 수소의 제조, 저장, 수송 및 이용방법에 이르기까지 많은 분야의 기술이 종합적으로 연관되어 있다.  3) 수소연료엔진의 특징    - 기존엔진의 일부만 바꾸면 되기 때문에 개발비를 줄일 수 있다.    - 기 보..

트랜드/신기술 2024.12.06

핵폐기물

1 핵폐기물의 개요 - 핵폐기물은 기체, 액체, 고체가 있으며 방사능의 세기에 따라 고준위와 중저준위 폐기물로 구분된다. 2 핵폐기물의 종류  1) 고준위폐기물    - 핵반응에서 발생한다.    - 핵분열 후 남은 원소들로 세슘, 아이오딘, 스트론튬, 테크네튬등 방사성동위원소를 일컫는다.  2) 중저준위폐기물    - 원자력발전소나 병원, 산업체에서 발생한것    - 고체, 액체 폐기물로 구분된다.      * 고체폐기물 : 온교환수지, 방사선구역에서의 작업복, 장갑등, 소각후 재등      * 액체폐기물 : 작업후 세척액등(열교환에 사용되는 경수, 중수는 포함안됨) 3 핵폐기물의 처리  1) 고준위 폐기물    - 원전내부 수조에 담겨져 보관.    - 매립, 방류등이 불가하며 정비된 특정장소에 보관..

수소에너지

1 수소에너지  1) 수소생산기술    - 수전해(전기분해) : 물을 전기분해하는 방법    - 화석연료 개질 : 화석연료를 개질하여 수소를 생산하는 방식    - 부생수소 : 석유화학공업의 부산물    - 생물학적 수소생산 : 물 유기물 가스로 구분되며 미생물의 매커니즘으로 수소를 생성함 2) 수소이동 및 저장기술    - 액화수소 또는 수소가스로 이송됨.    - 가스파이프를 통한 직접이송, 튜브트레일러, 수소저장물질과의 결합기술등을 이용하고 있다.   - 수소와 산소의 전기화학반응이 일어나는 연료전지의 핵심부품.    - 수소차등에는 수소를 고압압축하여 저장하는데 이때 수소를 700bar로 저장하는 고압용기가 사용됨.      * 수소탱크, 압력조절밸브, 압력센서, 수소센서등으로 구성됨 3) 수소충..

트랜드/신기술 2024.12.04

에너지 저장 시스템(ESS ; Energy Storage System)

1 ESS(Energy Storage System) 개요  1) ESS의 정의    - 생산한 전력을 저장 장치에 저장했다가 전력이 필요한 시기에 저장했던 전력을 공급하여 전체 전력 사용 효율을 높이는 시스템이다.    - ESS는 저장 방식에 따라 배터리 방식과 비(非) 배터리 방식으로 구분된다.       * 배터리 방식은 리튬(Li) 전지, 나트륨황(NaS)전지, 레독스 흐름 전지, 슈퍼 캐패시터 등을 포함.     * 비 배터리 방식은 양수발전, 압축공기저장, 플라이휠 등을 포함. 2) ESS 탄생배경    - 전력의 공급은 생산(generation), 송전(transmission), 배전(distribution)의 단계를 거치는데 전기사고의 대부분은 공급계통에서 발생하고 있다. 이를 해결하기 위..

트랜드/신기술 2024.11.29

연료전지(Fuel cell)

1 연료전지 개요  1) 연료전지 정의    - 수소를 연료로 사용하여 전기를 만드는 장치      * 연료의 화학반응에서 직접 전기를 얻는 방식      * 일반적으로 수소와 산소의 전기분해의 역변환 방식으로 전기를 생성하며 메탄올 알코올도 사용된다.    - 주요 구성요소로는 아노드(anode), 캐소드(cathod), 전해질(electrolyte)    - 3차 전지라고 부르며 연료나 재질에 따라 PEMFC, SOFC, MCFC등 다양한 종류가 존재한다. 2) 연료전지의 특징    - 전력생산효율은 40~50%수준이나 배출된 열을 활용가능하다면 효율은 85%까지 가능하다.    - 수소와 산소와 화학작용을 이용하여 전기를 만드는것으로 최종 산출물은 물, 열밖에 없어서 친환경적이다.     (화학적 ..

트랜드/신기술 2024.11.28

건설기계 기술동향

1 건설기계의 미래기술 1) 자율주행 프로세스  - 인지 -> 판단 -> 제어 2) 건축시공 프로세스  - 이전 : 설계측량 → 설계/시공계획 → 시공측량 → 토공작업 ↔ 검사측량  - 향후 : 스마트측량 → 토공BIM → 토공관제머신가이던스 → 준공측량 3) 단계별 자율주행 자동차 분류 및 건설기계 응용  - level0 - 비자동화 - 자율주행시스템 없음. 운전자가 완전 제어 단계    * 작업자가 건설기계를 완전하게 제어하는 단계  - level1 - 운전자보조 - 방향 속도제어. 운전자는 속도와 방향을 통제하는 단계    * 굴삭기 작업정보 제공 시스템 탑재(머신 가이던스)  - level2 - 부분자동화 - 특정한 조건하에 차선과 간격유지 가능. 운전자는 적극적으로 운전 개입    * 굴삭기 운..

트랜드/신기술 2024.11.27

하이브리드자동차 / 전기자동차

1 하이브리드 자동차  1) 정의    - 두가지 이상의 동력원으로 구동되는 차량 .    - 일반적으로 내연기관과 전기모터가 결합된 동력시스템.  2) 종류    - 일반내연기관    - 하이브리드차    - 플러그인 하이브리드 차량  3) 하이브리드 전기동력    - FMED(Flywheel Mounted Electric Device)      * 변속기 모터사이에 클러치가 존재.      * 엔진은 보조용, 발전용으로만 사용됨.   - TMED(Transmission Mounted Electric Device)      * 전기와 엔진구동력을 모두 사용할 수 있다.      * 모터로 주행가능한 EV모드가 존재한다. 2 전기자동차  1) 전기동력시스템 정의    - 전기를 이용하여 구동하는 시스템...

트랜드/신기술 2024.11.07

무인탈것/무인차량(unmmaned vehicle)

1 무인탈것(unmmaned vehicle)의 개요 1) 무인탈것의 정의   - 사람이 탑승하지 않은 탈것으로 원격 제어 또는 원격 유도 차량인 원격 로봇 제어를 받거나 환경을 감지하고 스스로 탐색할 수 있는 자동 제어(자율차량 ; autonomous)을 뜻한다. 2) 무인탈것의 종류   - 무인항공기 : UAV(Unmanned Aerial Vehicle)   - 무인차량 : UGV(Unmanned Ground Vehicle)   - 무인선박 : UMV(unmanned marine vehicle)     * unmanned surface vessel     * unmanned underwater vehicle -> 물속에서는 무선통신 안됨(통상 유선이용) 3) 무인탈것의 특징   - 현재의 무인시스템은 ..

트랜드/신기술 2024.10.24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