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
표면처리 3

강의 표면처리/표면경화법

1 표면처리/표면경화법 개요 1) 정의   - 재료에 화학적 물리적방법으로 처리하여 재료의 기계적 성질을 변화시키는것.   - 일반적으로 재료 내부는 적당한 인성을 가져서 내충격성을 확보하고 표면은 경하게 만들어 경도를 높이는 것. 2) 열처리   - 물리적 처리는 열을 가한뒤 조직을 재 형성하는 과정에서 기계적 성질을 변화시킨다. 2 표면경화법의 종류 1) 화학적 표면처리   ① 고체침탄법(침탄법 : 재료 표면에 탄소/질소를 침투시켜 표면을 과공석강, 공석강, 아공석강 층으로 만드는 방법.)     - 침탄제(목탄, 탄산바륨, 코크스, C02 가스)와 재료를 함께 노안에서 가열하는 방법.     - 가열온도 900~950도 가열시간 5~6시간.     - 0.5~3mm 정도의 표면열처리, 표면의 탄소함..

전처리/표면전처리

1 표면전처리 1) 정의와 목적   - 양질의 도막을 얻기 위해서는 도막부착정도가 양호해야하고, 이를 위해서는 도료와 매칭되는 표면조도를 필요로 한다. 적절한 표면조도를 생성하기 위한 전처리를 표면전처리하고 한다.     * 표면조도는 도장사양서상에 표면처리 항목과 별도로 구분하여 명기하여야 한다. 2) 전처리 기준   - 사용될 도료가 요구하는 정도까지 표면처리를 해야한다.   - 도면 또는 특별한 언급이 없으면 25~27㎛ 수준까지 처리함이 적당하다.   - 일반적으로 SSPC 기준 SP10 혹은 이와 동등한 기준으로 연마재 세정이 필요하다. 3) 표면처리 방법과 도장절차   - 모든 피도물은 도료가 요구하는 정도의 표면처리를 해주어야 한다.   - 브라스트세정은 피도물의 오염물을 제거한 뒤 실시한다..

도장(painting)

1 개요  1) 도장의 목적    - 반제품인 도료가 완제품인 견고한 도막을 형성하기 위한 수단    - 도막화는 피도물의 수명유지에 기여하고, 미려한 외관을 부여하며, 특정한 기능을 부여함.  2) 도장의 특성    - 도장의 목적과 효과를 위해 주의사항이 필요.      * 피도물에 따른 도장방법 고려 필요      * 도료 종류 따른 도장방법 고려 필요      * 도장환경에 따른 도장방법 고려 필요 2 도장의 절차  1) 도장을 위한 설비   - 도료 : 믹싱룸, batch   - 전처리 : 전처리제, 전처리장치   - 도장장치 : 도장기기(스프레이, 에어), 부스   - 건조장치 : 열풍건조로, 적외선 건조로   - 품질관리 : 점도계, 도막두께측정기, 색차계등  2) 도장 공정    ① 전처리..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