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
생산기술 4

공정자동화/가공자동화

1 공정자동화 / 가공자동화 개요  1) 자동화 공정    - 사람에 의한 작업이 아닌 설비 또는 로봇에 의한 작업을 뜻함.    - 자동화율이 높을 경우의 특징      * 휴먼에러 요소가 감소하여 인명피해 위험요소가 감소한다.      * 작업자의 숙련도에 따른 품질 영향이 적다.      * 설비 가동율이 높다.      * 생산성이 높아 고정비가 낮아진다.    - 신기술 및 신공법이 자동화율을 높이는것은 아니므로 가공시간 생산성 원가를 종합적으로 판단해야함.   - 현대 절삭가공은 가공공정의 자동화율을 향상시키는 공법에 방점을 두고 있음. 2) 관련용어    - 자동화율 : 총 가공시간에서 무인작업, 자동설비 시간이 차지하는 비율(수작업시간을 제외한 시간)    - MCT(Machining ce..

휴먼에러

1 휴먼에러 개요  1) 휴먼에러의 정의    - 허용범위를 벗어난 일련의 행동 또는 행동을 이행하지 않는 상태  2) 에러의 유형    - 기술기반에러 : 주의실패, 기억실패    - 결정에러 : 절차에러, 잘못된선택    - 지각에러 : 착시, 착각, 오인 2 휴먼에러의 분류  1) 휴먼에러의 단계별 분류    - 실수(slips and lapses) : 실행과정에서 수행이나 기억에 실패한 경우      * slip : 상황해석은 제대로 하였으나 의도와 다른 행동을 하는 경우      * lapse : 연쇄의 단계중 시행을 잊고 안한 경우    - 오류(mistake) : 판단이나 추론의 과정에서 실패 또는 결함이 발생한 경우 또는 상황해설을 잘못하여 착각하여 행동한 경우  2) 휴먼에러의 행동별 분..

작업효율

1 작업효율 개요 1) 작업효율의 정의   - 이상적인 표준작업량에 변수를 감안하여 현실화된 작업량을 산출하는 것으로 시간적요소와 능력적 요소를 반영한다. 2) 작업효율의 계산   - 작업효율 = 작업시간율 x 작업능률    * 작업시간율 : 유지시간을 제외하고·실제로 가동된 시간. 60분에 대한 비율.    * 작업능률 : 표준 시공량 대비 실제의 시공상 비율2 작업효율에 미치는 요소 2 작업효율의 판단요소 1) 작업시간율   - 기준시간대비 손실을 제외한 실제 가동한 비율.   - 준비를 위한 정지, 조합시공을 위한 대기 시간.   - 운전원의 미숙련 정도.   - 기계의 정비, 점검을 위한 대기 시간을 감안해야함.   - 시공법 파악을 위한 정차등이 포함. 2) 작업능률   - 표준 시공량에 대한 ..

표준시간

1 표준시간 1) 관련 용어 정의    - 정미시간 : 대상작업의 기본적 내용, 규칙 주기적으로 발생하는 사항      * 정미시간 = 관측시간 평규치 X 레이팅 계수     * 레이팅계수 : 작업속도를 정규작업자(100) 기준으로 환산한 계수    - 여유시간 : 필요한 내용이지만 불규칙적, 우발적으로 발생하는 사항  2) 표준시간의 계산   - 표준시간 = 정미시간+여유시간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= (주작업시간(기계작업, 수작업, 검사)+부수작업+준비후처리)+여유시간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= 관측시간의 평균치 X 레이팅 계수 X (1+여유율)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= 정미시간 X (1+여유율)   - 표준시간 = 신체부위작업(인적시간) + 프로세스시간+ 여유시간 2 주요 작업시간..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