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 개요
1) 나사의 일반사항
- α : 리드각 = tan^-1(p/πd)
- p : 피치
- 호칭지름(d) : 바깥지름 또는 나사규격
- 골지름(d1) : 볼트 최소 직경
- 유효지름(d2) : 바깥지름과 골지름의 평균지름
- 나사높이(h) : 골지름과 바깥지름 사이 높이
2) 나사의 종류
① 삼각나사
- 미터나사(Metric thread)
* 나사산의 각도가 60도
cf. M3x0.5 M : 나사의 종류 3 : 호칭지름(d2) 0.5 : 피치
- 유니파이나사(Unified thread)
* 나사산의 각도가 60도
cf. 1/4-20UNC 1/4 : 나사의 지름 20 : 산수(inch 안에 있는 산 수)
UNC : 보통 나사의 종류(UNF : 가는나사)
② 사각나사
2 나사의 규격
1) 나사규격의 정의
- 나사의 KS규격을 보면 나사는 아래 지름에 대해 세가지로 정리해서 그 규격을 정의하고있다.
- 나사의 규격을 구분한 이유는 나사의 기계요소를 계산할때 필요한 치수가 다르기 때문이다.
* D : 바깥지름(호칭치수)
* D1 : 골지름
* D2 : 유효지름
2) 나사규격 상세
① D : 바깥치수(호칭지름)
- 나사의 규격을 지정하기 위해 정의한 치수이다.
- 나사의 외곽(나사산의 정상부분)의 치수를 뜻한다.
② D1 : 골지름
- 나사의 인장/압축응력을 계산하기 위해 필요하다.
③ D2 : 유효지름
- 나사의 토오크를 계산하기 위해 필요하다.
- 유효지름은 사각나사에만 (D+D1)x1/2이다.
3) 나사 설계시 주의사항
- 나사의 기계요소설계할때 반드시 구분하여 치수를 구분해야 한다.
cf. M10 볼트의 호칭지름 10mm 를 가지고 인장, 토오크를 계산하면 그 오차는 아래와 같다.(보통나사 기준)
▶ (0.785XD1^2)/(0.785XD^2)=0.70
▷ (0.785XD2^2)/(0.785XD^2)=0.81
즉, 정상계산값보다 토오크 계산시 81%수준으로 인장압축 계산시 70% 수준으로 낮기에 틀린 계산식이 된다.
나사의 사양을 선정할때는 반드시 D, D1, D2 를 구분하여 사용해야 한다.
3 나사의 역학적 해석
1) 사각나사
① 나사의 회전 torque
μ : 마찰계수 ρ : 마찰각 2) 나사의 체결력
② 나사의 자립조건
- 관련 공식(나사의 풀림)
* 해석
α=ρ P'=0 : 임의의 위치에서 정지
α>ρ P'<0 : 나사가 풀림
α<ρ P'>0 : 정지(나사를 풀기위해서는 차이만큼의 힘이 필요)
③ 나사의 효율
- 회전력으로 효율 정의
- 일량으로 효율 정의
2) 삼각나사
① 상당마찰 계수
- 공식
* β : 마찰각(60도 해당) ρ : 상당 마찰각
② 나사를 조이는 힘
③ 나사의 효율
4 나사의 풀림방지
1) 풀림역학(풀림기준)
- T(토오크), P(하중) 값의 증대가 필요함.
- 접촉면 마찰력 증대(μ 값 증대)
- 마찰각의 증대/마찰계수 증대(μ 값 증대)
- 피치의 감소(p 값 감소)
- 진동억제(진동시 마찰력 감소)
2) 상용 나사의 풀림방지
① 마찰개선
- 접착제(록타이트등)을 사용하여 마찰력 증대.
- 와셔 표면을 거칠게하여 표면 마찰력 증대
- 스프링와셔등을 끼워서 마찰력을 가중시킴.
② 물리적고정
- 록너트(Locknut) 사용
- 홈붙이 너트를 사용하여 너트가 돌지 못하게 함
- 특수와셔를 사용하여 볼트 또는 너트가 돌지 못하도록 방지함.
- 멈춤나사를 사용하여 볼트 나사부를 고정.
- 볼트 또는 너트에 구멍을 뚫고 핀을 꽂음으로 풀림 방지함.
'기계공학 > 기계공학일반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전처리/표면전처리 (0) | 2024.07.05 |
---|---|
세척과 방청 (0) | 2024.07.04 |
노킹(knocking) (0) | 2024.07.02 |
옥탄가와 세탄가 (0) | 2024.07.02 |
치형곡선(인벌류트, 사이클로이드) (0) | 2024.07.01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