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 ESG 개요
- 기업이 얼마나 투명하게 운영되는지를 나타내는 비재무적 요소
* 재무적요소(전통방식)+비재무적요소(ESG)로, 기업평가의 새로운 척도
- 환경(Environment), 사회(Social), 지배구조(Governance)의 약자
- 기업의 수익 정보 외 수익을 내는 과정이 올바른지 확인하는 지표
- CSR(기업의 사회적 책임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)와 유사하나 CSR은 사화공헌을 통한 사회적 기여에 중점, ESG는 사회 공헌 및 경영활동에 중점으로 차이가 있음.
* CSR은 선택사항이었으나 ESG는 평가지표로 투자자의 투자판단의 지표로 활용됨.
2 ESG의 추진 과정
- 2000년 영국을 시작으로 ESG정보를 의무적으로 공시해야하는 제도가 도입되었으며 우리나라는 2025년부터 단계적으로 의무 공시를 확대할 예정.
- KCGS 한국기업지배구조원의 ESG평가(국내), 1999년부터 시작한 DJSI(Dow Jones Sustainability Indices) 다우존스지속가능경영지수(글로벌), ISO26000로 평가.
- 코로나19로 인해 ESG의 중요성이 부각됨.
3 ESG의 평가체계
1) MSCI
- ESG항목에 대해 Risk, Opportunity, Controversy로 평가
2) 골드만삭스
- 기업내 정책으로 점수화
3) 한국기업지배구조원
- 기업의 ESG 개별등급과 이를 종합한 통합등금을 정기적으로 발표중
- 환경, 사회나눔, 기업지배구조부문으로 구분하여 평가
- 등급은 S(탁월), A+(매우우수), A, B+(양호), B, C(취약), D 7등급으로 구분
4) 한국거래소
- 사회책임투자지수(SRI) 종목구성에 활용
4 ESG 구성요소
1) Environment(환경)
- 제품생산과정에서의 환경영향을 줄이고 친환경제품을 구매하고, 생산하는등 체계적으로 환경경영을 수행해야함.
- 요즘은 기후변화에 대한 대응정도를 높은 평가 척도로 활용하고 있음.
- 환경조직, 환경경영, 환경보고등이 포함.
- 기후변화, 온실가스 배출, 자원고갈, 폐기 및 오염, 산림파괴 등으로 평가.
2) Social(사회)
- 사회 공헌 활동
- 인전자원관리, 산업안전, 하도급거래, 제품안전, 공정경쟁등
- 노동환경(아동 및 노예노동), 건강 및 안전, 분쟁지역, 노사관계 및 다양성으로 평가
3) Governance(지배구조)
- 조직구조 혁신, 지속가능 성장을 의미.
- 주주의 권리, 이사회의 구성과 활동, 감사제도, 관계사 위험, 배당등
- 경영진의 보상, 뇌물 및 부패, 정치적 로비 및 기부, 이사회의 다양성 및 구조, 세무전략등으로 평가.
'안전공학 > 규제 및 안전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재해의 평가 (0) | 2024.10.28 |
---|---|
가드(guard) (0) | 2024.10.25 |
RE100 (0) | 2024.10.11 |
배기규제(tier, EURO, stage) (0) | 2024.08.08 |
REACH RoHS 규제 (0) | 2024.08.07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