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 베어링 요구특성
1) 윤활제 조건
- 적합한 점도를 가질것
- 경계윤활 성능이 우수할 것
- 적용할 수 있는 온도범위가 넓을것
- 화학적으로 안전성이 높을것
- 불순물을 포함하지 않을 것
2) 베어링 윤활제 요구 특성
- 내마모성(wear resistance)
* 경질물(탄화 몰리브덴)을 베어링 재료에 첨가하여 복합화시킴으로 향상됨.
* 미끄럼 베어링의 표면에 고체윤활제를 오버레이하여 사용하여 마모방지.
- 내소착성(burning resistance)
* 고체접촉이 일어나도 상대 재료에 소착하기 어려운 성질.
cf) 알루미늄합금은 표면에 안정도니 산화피막이 형성되어 안정된 내소착성을 가지고있다.
* 축을 가공할때 혼입된 절삭가루와 오일열화 및 오일부족등에 의해 발생한다.
- 내피로성(fatigue resistance)
* 반복하중이 연속적으로 부하하면 항복점 이하에서도 재료의 손상 및 균열이 발생하고 파괴된다.
* 피로수명은 온도가 상승하면 저하되고 동일한 온도에서는 면압이 작으면 증가한다.
- 친화성
* 미끄럼베어링과 축 사이에 고부하 발생시 유막 압력에 의해 탄성변형량이 크면 국부적으로 접촉발생.
* 베어링 친화량을 고려한 베어링 내면 형상을 크라우닝으로 하여 국부접촉을 방지해야한다.
3) 베어링 마찰열 방산방법
- 자연방산
- 강제냉각
* 고속 및 고하중용으로 사용하면 발생열량이 많기 때문에 강제냉각 시행 필요.(자연방열만으로 어려움)
* 윤활유를 강제 순환시키면서 발생열을 흡수하는 방법 적용 필요.
2 베어링 윤활 방법
1) 손급유 : 기름깔대기 등으로 수시로 급유하는 방법
2) 적하급유 : 오일컵의 구멍에서 일정량 자동적으로 적하되는 급유방법. 경하중용 베어링에 적용됨.
3) 패드급유 : 기름통이 하부에 위치하며 기름통에 침지된 패드로부터 모세관작용으로 급유 도포하는 방법.
4) 침지급유 : 베어링을 기름속에 담가서 급유하는 방법으로 수직형 스러스트 베어링에 적용됨.
5) 오일링 급유
- 회전축에 오일링을 걸어두는 방식으로 오일링은 하부 오일통이 일부 침지되어 축이 회전시 오일링도 회전하며 급유 윤활되는 방식
6) 튀김급유 : 내연기관에 사용되며 크랭크축 하단에 오일주걱을 통해 기름을 튀겨서 급유하는 방식.
7) 순환급유 : 펌프등에 의해 유조에서 오일을 압송 공급하는 방식. 내연기관등에서 사용됨.
8) 그리스급유 : 그리스컵을 끼워서 급유하는방법으로 저속베어링에 사용된다.
'기계공학 > 기계공학일반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인화점과 발화점 (0) | 2025.04.23 |
---|---|
재료 간 접합의 종류 (0) | 2025.04.10 |
타이어의 마모 (0) | 2025.04.08 |
타이어(tire) (0) | 2025.04.07 |
점도지수(VI ; viscocity index) (0) | 2025.04.04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