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 전방안정도(forward stability)
1) 개요 및 정의
- 크레인의 붐측(전방)의 안정성을 수치화한 것으로 크레인 안전 상태 척도이다.
* 전방안정도의 값이 클수록 안정된 상태이다.
- 이동식 크레인 전방안정도
* Wp : 지브중량 중 선단부 등가중량(t)
* Wa : 권상하중
* Wc : 안전여유하중
2) 전방안정도 유지조건
- 크레인의 종류에 따라 정격하중의 1.15~1.27배 하중을 걸어서 시험함
- 산업안전보건법(이동식 크레인에 관한 기술지침)에서 규정하는 크레인 전방안정도는 1.15 이상임
- 전방안정도에 영향을 주는 중량은 크레인의 전방안정도에 관하여 가장 불리한 상태에 있는것으로 한다.
2 후방안정도(backward stability)
1) 정의 및 개요
- 하중이 걸리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힘이 작용할때의 안정성을 수치화한것
* 권상용 와이어 로프가 절단되는 조건등
* 과도한 평형추 사용시 / 무부하시 후방안정성을 나쁘게함.
- 기중기의 후방에 안정성을 주기위해 후측으로 배분된 하중
2) 후방안정도 유지조건
① 크롤러타입
- 크레인 중량의 15% 이상이 지브축의 전도지점(전도지선)에 남아야 함.
즉, 붐이 향하는 방향의 전도지선에 걸리는 하중이 건설기계 무게의 15% 이상이어야 함.
- 측정방식
② 휠타입
- 붐이 주행방향과 직교 : 앞바퀴에 걸리는 하중이 전체중량의 15%이상이어야함.
- 붐이 주행방향과 평행
③ 측정조건
- 최소 작업 반경내
- 아우트리거 제거한상태
- 훅, 달기구 장착하지 않은 상태(무부하상태)
- 평탄하고 단단한 지반에서 시항
'기계공학 > 건설기계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건설기계 구조변경 (0) | 2025.04.18 |
---|---|
양중기(정의 및 종류) (0) | 2025.04.16 |
NATM 공법(New Austian Tunnel Method) (0) | 2025.04.15 |
냉각장치 (0) | 2025.02.19 |
중장비의 작업능력 (0) | 2025.02.18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