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1 개요
1) 정의
- 아크용접의 감전재해
* 대부분 출력측(용접봉, 홀더등)에서 발생.
* 입력측에서는 외함의 접지 이용하여 방지함.
- 안정된 아크를 유지하기 위해 일정한 무부하 전압을 유지할 필요가 있음.
- 무부하상태에서 최소한의 전압만 유지하고 용접작업시 즉각적인 본 전압상태를 만들기 위한 장치가 전격방지장치.
2) 특징
- 용접작업시 용접기는 고전류 고전압 상태에 있다. 500A 는 95V, 400A 는 85V 수준의 전압발생하는데 이는 감전을 유발하는 수준임.
- 전격방지장치는 작업을 않을 시 감전의 재해를 막기 위해 무부하시 25V상태로 유지하도록 만듦.(25V 는 안전상 무해한수준)
2 구성 및 원리
1) 구성
2) 동작방식
① 용접봉과 모재와의 전류가 멈춤
② 제어장치가 이 상태를 검출하여 특수릴레이가 동작하며 보조변압기 전압(25V)가 활성화됨
③ 홀더 및 용접봉에는 보조변압기의 전압 상태가 됨.
④ 다시 용접봉을 모재에 대면 아크가 흐르고 특수 릴레이가 작동하여 아크가 발생한다.
반응형
'기계공학 > 용접공학' 카테고리의 다른 글
GMAW(Gas Metal Arc Welding) (0) | 2024.12.09 |
---|---|
SMAW(Shield Metal Arc Welding) (0) | 2024.11.11 |
전기 아크 (0) | 2024.07.29 |
용접가스의 영향(수소, 산소, 질소) (0) | 2024.07.26 |
용접 이행의 종류 (0) | 2024.07.24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