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
가공경화 2

금속변형거동(뤼더스밴드, 가공경화, 탄성여효, 응력이완, 바우싱거효과)

1 뤼더스밴드(Luder's band)  1) 정의 : 상항복점에 도달하면 변형이 갑자기 커지고 재료내 응력이 집중되는 부분에 국부적인 소성변형이 발생하는데 이 지점을 뤼더스밴드라 한다.  2) 원인 : 뤼더스밴드는 결정면에 따라 생기는 슬립현상에 기인한다.  3) 특징 : 45도 경사된 방향으로 가늘고 흐린 불규칙한 줄이 나타나며 하항복점에서 시험편 전체에 퍼진다. 2 가공경화  1) 정의 : 변형이 증가함에 따라 변형저항도 증가하는 현상.   - 변형저항 : 재료를 영구히 변형시키는데 필요한 인장력.   - 가공경화성 : 냉간에서 받는 소성작용력에 따라 변형 저항이 증가하는 성질.  2) 가공경화의 특징    - 가공후 제품이 견고해진다.     - 힘과 변형의 관계에서 증가율뿐아니라 양상이 다르게 ..

가공경화

1 가공경화 개요 1) 정의   - 일반적으로 금속은 가공하여 변형시키면 단단해지며 그 굳기는 변형의 정도에 따라 커지는데 이러한 현상을 가공경화라 한다. 2) 가공경화의 발생 원인   - 가공경화는 소성가공에 의한 전위셀 생성 및 증가에 기인한다. 3) 가공경화의 특징   - 가공경화는 재료의 경도를 높이는 역할을 하며(탄성한도를 높임) 내부 응력으로 인해 재료가 비틀리거나 치수가 부정확해지기도 한다.   - 연성이 낮아져서 충격량이 낮아진다.2 가공경화의 발생 과정 1) 소성가공 측면   - 탄성한도 이상으로 힘을 가하면, 재료는 소성변형이 일어나고 일반적으로 탄성한도가 증가한다. 이러한 증가정도가 가공경화이다.(일반적인 정의의 가공경화) 2) 재료의 거동 측면   - 탄성영역은 1차함수로 나타나지만..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