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
캐비테이션 2

캐비테이션(cavitation)

1 캐비테이션 개요 1) 캐비테이션(cavitation) 정의   - 국소 압력이 강하하여 액체에서 공기가 분리되는 현상.   - 캐비테이션은 공동현상이라고도 불림. 2) 캐비테이션 발생현상   - 기포가 다시 고압으로 붕괴 → 공기가 사라지며 주변의 이물질을 강력하게 빨아들이며 상대물에 충돌 → 상대물의 손상   - 기포가 다시 고압으로 붕괴 → 충격파를 발생함. 상대물에 소음과 진동이 발생. → 상대물의 손상 2 캐비테이션의 원인 및 영향 1) 캐비테이션의 발생 원인   - 흐르는 유체에서 임의 지점의 정압이 해당 유체의 포화증기압보다 낮아질 때 기포가 발생하고 다시 기포가 압역에 의해 상쇄될때 충격파가 발생한다.     * 고속유체의 경우 단열상태로 압력이 강하되는데, 이때 포화증기압보다 낮아져서 ..

펌프의 양정(NPSH)

1 NPSH의 개요 1) NPSH의 정의   - 유효흡입양정(NPSH : Net Positive Suction Head)은 펌프의 공동화현상(cavitation)의 발생가능성을 점검하는 척도이다.   - 차이가 클수록 펌프가 더 작동을 잘하는것이 아닌 펌프를 동작하기 위한 최소한의 필요 대기압의 조건을 의미하며, 펌프의 환경조건에 대한 여유값이다.   - 펌프는 대기압과 펌프의 기계적인동작으로 유체를 이송하는데, 흡입부의 대기압 및 부가요소는 작동조건을 지배하며 NPSHa와 NPSHr 두가지 인자로 판단할 수 있다. 2) NPSH 요소 정의   ① NPSHr(required 필요흡입수두)     - 회전차 입구 부근까지 유입되는 액체는 회전차에서 가압되기 전에 일시적인 압력강하가 발생하는데 이에 해당하는..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