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 건설기계의 미래기술
1) 자율주행 프로세스
- 인지 -> 판단 -> 제어
2) 건축시공 프로세스
- 이전 : 설계측량 → 설계/시공계획 → 시공측량 → 토공작업 ↔ 검사측량
- 향후 : 스마트측량 → 토공BIM → 토공관제머신가이던스 → 준공측량
3) 단계별 자율주행 자동차 분류 및 건설기계 응용
- level0 - 비자동화 - 자율주행시스템 없음. 운전자가 완전 제어 단계
* 작업자가 건설기계를 완전하게 제어하는 단계
- level1 - 운전자보조 - 방향 속도제어. 운전자는 속도와 방향을 통제하는 단계
* 굴삭기 작업정보 제공 시스템 탑재(머신 가이던스)
- level2 - 부분자동화 - 특정한 조건하에 차선과 간격유지 가능. 운전자는 적극적으로 운전 개입
* 굴삭기 운전 지원 시스템 탑재(머신 컨트롤)
- level3 - 조건부자동화 - 정해진 조건에서 자율주행 가능. 운전자는 적극적으로 운전에 개입할 필요는 없지만 한계점에는 대응
* 운전자의 지령에 따라 정해진 패턴의 작업을 수행(머신 오토메이션)
* 작업의 일부 기능을 굴삭기가 스스로 제어하는 단계(자동 굴삭, 자동선회)
- level4 - 고도자동화 - 정해진 도로 조건 모든 상황에서 자율주행 가능. 그밖에 조건에는 운전자가 개입
- level5 - 완전자동화 - 모든주행 상황에서 주행. 운전자 개입 불필요
* 운전자 개입없이 모든작업을 건설기계가 수행(Unmanned system), 운전자 없이 작업하는 단계
2 각국의 정보화 시공
1) 일본의 정보화시공 추진
- 2008년 국토교통성의 정보화시공 추진위원회 구성, 2012년까지 정보화 시공 기술 개발 및 현장적용 및 심층검증
- 2017 국토교통성 장관주재 정보화시공 확산을 위한 i-construction 컨소시움 구성
* i-contruction : Iot와 ICT등 최신기술을 적용해 생산성향상을 이끌어내는 사업
2) 유럽연합
- 유럽연합의 CECE는 에너지 효율화 건설장비 기술로
- 머신가이던스와 머신컨트롤 기술을 활용하여 생산성 극대화를 권장함
3) 미국
- AMG(automated machine guidance) 실현을 위해 공사활용 발주방안에 대한 가이드 제시
3 굴착기의 고도화
1) 하드웨어 고도화
- 전자 유압적용확대
* 유압파일롯 재어에서 전자제어방식(EPPR)적용
- 다양한 동작 센싱
* 센서융합, 작업 최적화를 위한 다양한 정보 제공, 단 센서의 내구성이 확보되어야 함
- 시스템 통합
* 기능별 시스템간 호환성 강화
* 컨트롤러 디스플레이 통합
2) 소프트웨어 고도화
- 제어성능 개선(속도 및 정확도 개선)
- Automation 기능 개발
* MG, MC 기능 구현
- 자동운전 기능등을 통한 운전자 편의성개선
- Cloud Bigdata 연계 개발
* 3D BIM 및 도면 활용 기술 개발
'트랜드 > 신기술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에너지 저장 시스템(ESS ; Energy Storage System) (0) | 2024.11.29 |
---|---|
연료전지(Fuel cell) (2) | 2024.11.28 |
하이브리드자동차 / 전기자동차 (0) | 2024.11.07 |
무인탈것/무인차량(unmmaned vehicle) (2) | 2024.10.24 |
희토류(Rare Earth Elements) (0) | 2024.10.23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