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 무인탈것(unmmaned vehicle)의 개요
1) 무인탈것의 정의
- 사람이 탑승하지 않은 탈것으로 원격 제어 또는 원격 유도 차량인 원격 로봇 제어를 받거나 환경을 감지하고 스스로 탐색할 수 있는 자동 제어(자율차량 ; autonomous)을 뜻한다.
2) 무인탈것의 종류
- 무인항공기 : UAV(Unmanned Aerial Vehicle)
- 무인차량 : UGV(Unmanned Ground Vehicle)
- 무인선박 : UMV(unmanned marine vehicle)
* unmanned surface vessel
* unmanned underwater vehicle -> 물속에서는 무선통신 안됨(통상 유선이용)
3) 무인탈것의 특징
- 현재의 무인시스템은 방산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대체로 방산산업에 집중되어 있음.
- Unmmaned 는 inteligence를 대신하는건 아님.
- 지상 및 우주는 단파등 무선 통신을 통한 제어가 가능하나, 물속에서는 물의 전파 흡수로 인해 장파 또는 소나(sonar)를 통한 통신만 가능.
* 물속에서의 가능한 통신은 band width 가 낮아서 실시간 정보공유에 제한적임
2 제어방식
1) 무인탈것의 제어 단계
- 1단계 : Remote control : 사람의 감각기관을 이용, 사람의 절대적
- 2단계 : Teleoperation : 센서를 통한 보조 제어, 사람의 제어 절대적(거리를 위미하진 않음)
- 3단계 : Semi-autonomous : 단속적으로 명령제어, 간단한 명령어로 효과적인 움직임 출력 가능
- 4단계 : Full autonomous : 완전 자동화된 동작 출력, 사람의 입력이 불필요함.
2) 통신제어 방식
- 가이던스 → 컨트롤러 → vehicle ↓
↑ 에스티메이터 ← 센서
* 가이던스 : 소프트웨어 / plan
* 센서/에스티메이터(필터) : 센서 / sense
* 컨트롤/비클 : 비클 / act
- 목표물 추적방식으로 구분
* Persuit guidance : 타겟을 발견하여 path를 직선적으로 이동
* Proportional navigation : 목표물 궤적을 계산하여 미리 목적지를 조정하여 이동
3) PID 제어
- 제어 대상의 오차 신호를 이용하여 제어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방법
* 조작량을 목표값과 현재 위치와의 차에 비례한 크기가 되도록 하며, 서서히 조절하는 제어 방법이 비례 제어라고 하는 방식이다.
* 목표값에 접근하면 미묘한 제어를 가할 수 있기 때문에 미세하게 목표값에 가까이 할 수 있다.
- PID 제어 방식은 세 가지 요소를 적절하게 조합하여 사용한다. 각각의 요소의 가중치를 조절하여 최적의 제어 성능을 얻을 수 있다.
* P: Proportinal(비례) ; 제어 대상의 오차 신호에 비례하는 제어 입력 신호를 생성.
* I: Integral(적분) ; 오차의 누적값을 이용하여 제어 입력 신호를 생성.
* D: Differential(미분) ; 오차의 변화율에 비례하는 제어 입력 신호를 생성.
'트랜드 > 신기술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건설기계 기술동향 (0) | 2024.11.27 |
---|---|
하이브리드자동차 / 전기자동차 (0) | 2024.11.07 |
희토류(Rare Earth Elements) (0) | 2024.10.23 |
로터세일 (0) | 2024.10.22 |
탄소중립 (0) | 2024.09.16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