기계공학/용접공학

용접예열(pre-heating)

chief Artisan 2025. 4. 11. 05:00
반응형

1 예열 개요
 1) 예열의 목적
   - 습기의 제거
   - 재료간 융합을 위한 초기 온도 부여
   - 변형 또는 잔류응력 방지
   - 냉각속도를 느리게 하기 위함
 2) 예열이 필요한 경우
   - 예열하지 않았을대 최고 경도(HV) 370초과할때
   - 모재 표면온도가 0도 이하일때
   - 탄소당량이 0.44를 초과하는 경우.(제품 및 관리정도에 따라 달라짐. 일반적으로 0.6 초과로 기준하기도 함)

탄소당량 계산

 3) 예열의 온도의 결정
   - 고탄소량 또는 고탄소당량(Ceq) 재질을 사용할 경우 예열실시.
   - 도면 사양과 다른 강종을 대체사용할 경우 사전 검증 절차를 거쳐 온도 결정.


2 예열작업
 1) 예열준비
   - 예열의 종류는 열원의 공급방법에 따라 달라짐.
     * 화염
     * 전기저항
     * 유도가열
   - 일반적으로 화염을 이용한 예열을 이용함.
     * 산소-아세틸렌(또는 LPG)를 토치를 통해서 화염을 만들며 이를 제품에 가열하여 예열하는 방식.
     * 열원을 구하기 쉽고 화염을 조절하기 용이하여 간단하게 예열을 시도할때 적용한다.
 2) 예열수행
   - 일반적으로 용접부 근처에 국부적 가열을 실시하며 제품의 형상과 크기에 따라 가열로를 사용하기도 함.
   - 최대 예열온도는 230도 이하로 할 것
   - 예열시 한곳을 집중적으로 가열하여 온도를 높이는것은 지양하며 전체적으로 가열될 수 있도록 지속적으로 토치를 움직여야 한다.
     a 용접부에서 최소 75mm 거리까지 균일한 온도가 되도록 가열.
     b 모재 두께 또는 직경이 75mm 이상일 경우 용접부에서 모재의 최소 두께까지 예열함.
     c 제품의 크기가 75mm 이하일 경우 제품 전체가 균일한 온도가 되어야 함.
  - 예열온도의 측정은 용접선에서 75mm 떨어진 위치 및 주변부 골고루 측정한다.

반응형

'기계공학 > 용접공학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용접불량 대응법 / 교정법  (0) 2025.04.14
용접기호(부호)  (0) 2025.03.05
용접 기본 이론  (0) 2024.12.13
용접부 검사  (1) 2024.12.11
GTAW(Gas Tungsten Arc Welding)  (0) 2024.12.10