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 용접응력 완화법
1) 용접 시공에 의한 잔류응력 완화
- 한곳에 열의 집중을 피하고, 적은 입열량 시공
- 적절한 용착법과 홈형상 유지
- 용접순서등 사전에 고려하여 입열량 제어
2) 예열후열실시
- 온도차이를 감소시켜 가열 냉각시 발생하는 수축 팽창에의한 잔류응력 제거
- 예열을 통하여 냉각 감소 효과 적용
- 후열처리(PWHT ; Post welding heat treatment)를 통해서 경화능에 의한 균열 감소 적용
* A1 변태점 이하에서 단시간 유지하여 크리프에 의한 소성변형으로 잔류응력 제거
(잔류응력 완화정도는 고온일수록 유지시간이 길수록 커진다.)
* 강의 베인나이트화를 통하여 지나친 마르텐사이트 또는 잔류오스테나이트화 제거
3) 잔류응력 완화법(응력제거 열처리)
① 피닝법
- 치닝해머로 비드표면을 때려서 소성변형으로 잔류응력 제거, 잔류응력완화, 변형교정, 용착금속의 균열장지
* 표면 인장응력을 반대로 소성경화하여 상쇄하는 원리
- 냉간피닝 : 잔류응력 경감을 위해 진행
- 열간피닝 : 변형방지를 위해 진행
② 저온응력 경감법
- 가스화염으로 용접선 양측을 150~200도로 가열하여 수랭함. 용접부의 압축응력이 양측의 압축응력과 상쇄되어 응력완화
2 변형 방지대책
1) 구속용접 실시
- 구속용접을 실시한 후 후열처리를 실시하여 잔류응력 제거
2) 역변형부여
- 후판등 큰 각 변형에 대해 유효하며 경험치로 변형량을 예측하여 추정하여 시공함
- 최대 5도까지 허용한다
3) 단속용접 실시
- 회전변형을 억제하고 잔류응력을 균등하게 하기 위해 실시
- 단속용접된 부분사이를 후용접으로 메우거나 블록법 캐스케이드법과 병행함
- 용접효율이 저하되므로 적용시 많은 시간 비용 소요됨.
4) 기타 시공방법
- 후퇴법 실시
- 용접 패스수를 최소화함
- 개선각도 및 개선면을 적게한다.
- 용착량을 최소화한다.
- 용접시작점은 중립축 또는 단면중심부근에서 시작하며 양면 용접시에는 교대로 용접한다.
3 변형교정
1) 기계적방법
- 외력에의한 소성변형으로 변형교정
- 판재나 직선모양이 간단한 재료의 교정에 사용
2) 피닝법
- 용접 path마다 표면을 두드려 소성변형에의한 교정실시(후판에 유리)
3) 후열처리
- 크리프현상에의한 소성변형으로 잔류응력을 제거
- 최고가열온도 600도 이하로 설정
4) 이상부위 절단 후 재용접
- 변형이 발생한 재료를 잘라서 재용접하는 방법(최후의 방법)
'기계공학 > 용접공학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용접예열(pre-heating) (0) | 2025.04.11 |
---|---|
용접기호(부호) (0) | 2025.03.05 |
용접 기본 이론 (0) | 2024.12.13 |
용접부 검사 (1) | 2024.12.11 |
GTAW(Gas Tungsten Arc Welding) (0) | 2024.12.10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