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 산업재해 개요
1) 산업재해 정의
- 업무와 관련되어 근로자가 재해를 입게되어 상해 또는 사망에 이르는 것 또는 시설/설비가 손상 파손되는 행위, 근로자와 시설/설비가 동시에 비정상의 상태가 되는 상태
2) 산업재해 발생원인
- 불안전한 행동(unsafe acts)
- 불안전한 상태(unsafe conditions)
3) 산업재해 유형
- 끼임(entanglement / caught-in)
- 떨어짐(falling)
- 비산(flying object)
- 충격(impact)
- 화재/폭발(explosion)
- 파열(bursting)
- 누출(leackage)
2 산업재해 종류 및 예방
1) 산업재해 발생시 의무사항
- 사업주 : 작업중지, 작업장소로부터 근로자 대피
- 근로자 : 작업중지, 대피, 상급자에게 상황보고
- 안전관리자 : 작업중지, 안전을위한예방활동, 산업재새 발생원인 조사
- 고용노동부장관 : 중대재새 발생시 발생원인조사, 그밖에 조취
2) 끼임
- 사고의 1/3 차지
- 전원차단, 비상정지장치 사전설치, 방호울설치, 방호장치설치
- 근로자는 방호구착용 위험한 장소 출입금지
3) 추락
- 사망재해의 17%
- 승강설비 안전발판설치, 안전난간 설치
- 근로자 보호구착용, 작업계획서 작성
4) 충돌
- 사망재해의 10%
- 충분한 시야확보, 산업용 로봇 접촉 방지를 위한 방호울 설치
- 근로자 안전거리 확보, 작업계획서 작성
5) 비래
- 사망재해의 10%
- 근로자의 적절한용구사용, 안전관리자 상시 확인
- 규격의 높이로 중량물 적재, 규정의 작업반경내 작업
- 작업중 관계자외 출입금지 조치
6) 화재폭발
- 사망재해 13%
- 인화성물진 보관관리 철저(안전조치)
- 위험시 안전장소로 대피
- 위험물보관장소에 관계자외 출입금지 조치
'안전공학 > 규제 및 안전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이동식 고소작업대 (0) | 2025.05.06 |
---|---|
가설통로 (0) | 2025.05.01 |
보호구(안전보호장비) (0) | 2025.04.30 |
공정안전보고서(PSM) (0) | 2025.04.29 |
유해위험방지 계획서 (0) | 2025.04.28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