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 고용체 개요
1) 정의
- 서로다른 원자가 첨가되어 섞인 원자가 고르게 분포되어 고용된 결정체.
- 용융상태나 고체상태에서도 기계적 방법으로는 각 성분 금속을 구분할 수 없는 상태의 결정체.
- 고체A + 고체B ↔ 고체C
2) 고용체의 종류
- 침입형고용체
- 치환형고용체
- 규칙격자형고용체
3) 전율고용체
- 고용체를 만드는 원자간에 전 농도에 걸쳐 고용체를 만드는 고용체.
- 두성분이 같은형의 결정격자를 가지고, 원자의 지름차이가 적고 원자간 상호 결합력이 크지 않을때 발생.
- 원자 지름차가 15% 이상이면 전율고용체를 이루지 못함, 이를 한율고용체라함.
2 고용체 생성의 종류
0) 용어정리
- 초정 : 액체속에서 최초로 발생된 고체 결정
- 정출 : 액체속에서 새로운 고체 결정이 생기는 현상
- 석출 : 고체속에서 새로운 고체가 생성되는 현상
1) 공정(Eutectic)
- 2개 성분 금속이 액체상태에서는 균일한 용액이나, 고체로 응고된후에는 각각 분리 정출되어 기계적으로 혼합된 조직.
- 공정점이 합금용융점 중 가장 낮은 용융점이 된다.
- 공정반응은 주로 주철에서 발생한다.
* 4.3%C, 온도 1130℃에서 γ철과 시멘타이트로 정출(라데뷰라이트)
- 용액C → 결정A + 결정B
2) 공석(Eutectoid))
- 고체상태에서 고용체가 어느 특정온도에서 동시에 2개가 석출되는 반응 또는 생성된 조직.
- 탄소강에서 발생
* 아공석강 : 공석점(0.8%C) 미만의 탄소 함유량에서 발생, 페라이트 조직이 다수이며 연하고 전연성이 큼.
* 공석강 : 공석점(0.8%C) 723℃ 에서 발생, 펄라이트조작, 강인한 조직.
* 과공석강 : 공석점(0.8%C) 초과의 탄소 함유량에서 발생, 시만타이트 조직이 다수, 단단하며 메짐성 있음.
- 용액C → 결정E → 결정A + 결정B
3) 포정(peritectic)
- 용융상태에서 냉각하면 일정한 온도에서 정출된 고용체와 공존된 용액이 서로 반응하여 새로운 고용체를 만드는 반응.
- 용액E + 고용체F → 고용체K
4) 포석
- 두개의 고상이 냉각될때 또다른 하나의 고상으로 바뀌는 현상, 반대로 가열될때는 하나의 고상이 액상과 또다른 고상으로 바뀌는 반응.
- 고용체X + 고용체Y -(가열)→ 고용체K + 용액J
'기계공학 > 재료공학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항온변태곡선(TTT) / 연속변태곡선(CCT) (0) | 2024.07.12 |
---|---|
탄소강 (0) | 2024.07.10 |
부식(corrosion) (1) | 2024.07.09 |
강의 표면처리/표면경화법 (0) | 2024.07.05 |
아노다이징(anodizing) (0) | 2024.07.03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