건축/건축일반

교각

chief Artisan 2024. 7. 27. 05:00
반응형

1 교각의 종류
 1) 단순교(단순거더교, 형교)

   - 정의 : 두 지점위에 올려진 보형태의 교량

   - 특징 : 하중을 보의 휨강성으로 저항하고 그 힘을 두 지점에서 분담.

   - 적용 : 구조가 간단하여 해석이 쉽고 시공이 간단하나, 장경간 구성에는 불리하여 장대교에는 적용하기 어려움. 타 형식에 비해 처짐이 큼.

 2) 트러스교

   - 정의 : 트러스부재로 구성된 교량

     * 트러스부재 : 양단 핀으로 고정되어서 오직 축 방향력만 받는 부재

   - 특징 : 하중을 트러스부재의 축력으로 치환하여 저항.

   - 적용 : 일반 거더교에 비해 장경간에 유리, 다만 지속적인 연결부 하자 관리 필요, 하자보수 및 외부도장에 따른 유지관리비 큼.

 3) 현수교

   - 정의 : 주탑과 앵커리지 사이로 케이블을 늘어뜨려 매단형태의 교량.

   - 특징 : 케이블(행어와 주케이블)의 인장력으로 하중 지지 / 이론상 장경간 제약 없음.

   - 적용 : 교량형식 중 가장 긴 경간을 낼 수 있음(장대교), 앵커리지등 추가적인 구조 필요, 제작비 큼.

 4) 사장교

   - 정의 : 높은 주탑으로 부터 경사진 케이블을 뻗어내려 상판을 붙잡아 지지하는 형태의 교량.

   - 특징 : 케이블의 인장력으로 하중을 지지 / 케이블의 연직분력은 하중을 지지하는데 쓰이고, 수평분력은 보강형이 분담.

   - 적용 : 장경간이 가능함, 시공비용이 크며, 가설 중 안정성이 떨어짐.

 5) 라멘교

   - 정의 : 기둥과 상판(보)가 일체로 강결된 교량

   - 특징 : 교량받침 없이 기둥과 보가 일체로 연결되어 있음.

   - 적용 : 강성이 우수하고 교좌장치가 없어서 유지 관리 유리하나, 모든 구조가 일체화 되어 있어 장기간 거동에 불리하다. 부등침하에 의해 유해한 응력 발생할 수 있다.

 

 

 

라멘구조

2 교각시공

 1) 현장타설 공법(PSM)

   ① 동바리공법(FSM ; Full System Method)

     - 동바리설치-콘크리트타설-PC인장-동바리해체 순서

     - 지반이 양호하고 높이가 낮은 소교량에 적합(최대 교장 100∼500m) 

     - 청담교

   ② 이동식비계법(MSS ; Movalbe Scaffolding System)

     - 거푸집이 부착된 특수한 이동식비계를 이용하여 한경간씩 시공하는 방법.

     - 기계화된 비계 및 거푸집을 이용하므로 안전성이 높고 시공속도가 빠르다.

     - 다경간 교량건설에 적합.

     - 노량대교, 올림픽대교

   ③ 연속압출공법(ILM ; Incremental Launching Method)

     - 교대 후방에 위치한 작업장(Span Factory)에서 일정길이 Segment(10~20m)를 제작하고 압출장치를 이용하여 교량의 교축방향으로 한 Segment 씩 밀어가면서 점차적으로 교량을 가설하는 공법.

     - 시공속도가 빠르고 작업장 설치비 등 있으나 교각이 높을 경우 경제적(최적 교장 : 200∼600m 최대 1,160m)

     - 장대교 높은교각에 적합, 가설장비 진입이 어렵거나 동바리 설치가 불리할 경우 적용한다.

   ④ 켄틸레버공법(FCM ; Free Cantilever Method)

     - 교각상에 이동식 작업차나 이동식 가설트러스를 이용하여 좌우 평형을 유지하면서 3~5m 길이의 Segment를 순간적으로 시공해 가는 공법.

     - 시공속도가 빠르다 교각의 높이가 높을수록 경제적이다(작대교에 적합).

     - 이동식 작업차 및 이동식 가설트러스의 중량이 크고 제작비가 고가이다.

     - 원효대교, 올림픽대교

 2) Precast Girder 공법(PGM)

   ① Precast Girder(PC Beam) 공법

     - Girder를 공장에서 미리 제작하고 현장에서 가설한 뒤 그 위에 콘크리트 슬라브를 타설하는 방법.

     - 거더 운반 설치시 안전에 유의해야함(하부조건등 고려)

     - 교량을 경간 단위로 가설하므로 시공속도가 비교적 빠르다.

     - 거더 제작시 품질관리에 유의해야 함.

   ② Precast Segment 공법(PSM ; Precase Segment Method).

     - Segment 제작장에서 일정길이의 교량상부 Segment 를 미리 제작한뒤 현장으로 운반하여 가설장비로 설치하는 방법.

     - 시공속도가 빠르다. 교량규모가 크고 복잡한 교량구조물등에 적용한다.

     - Segment 제작 저장을 위한 장소 구비 필요, Segment 접속부의 전단력 처리 문제에 대한 대응 필요하다.

반응형

'건축 > 건축일반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비계(Sacaffolding 飛階)  (0) 2024.09.19
공사발주유형(EPC & Turn-key)  (1) 2024.09.11
공사관리 및 시공프로세스  (2) 2024.09.10
시멘트  (0) 2024.07.20