건축/건축일반

공사관리 및 시공프로세스

chief Artisan 2024. 9. 10. 05:00
반응형

1 공사관리 개요
 1) 공사관리 기술의 정의
   - 노무, 시공법, 자재, 기계, 자금(5M)등의 제자원을 효과적으로 계획 운영 관리를 통해 종합적인 유효성을 발휘하도록 하는것을 관리기술이라한다.
   - 공사관리는 주요 4가지 항목으로 계획하고 통제하는것을 말한다.
     * 안전확보(S) : 작업시 안전한 환경을 유지하고 공해, 유해물질 발생을 방지하는 것.
     * 시공품질향상(Q) : 발주자가 원하는 수준의 품질 및 성능을 갖는것.
     * 공기단축(D) : 투입되는 자원을 효율적으로 사용하여 발주자가 지정한 기일 이내 시공을 완료하는 것.
     * 공사원가절감(C) : 계획된 예산대로 운용하고 원가의 저감을 도모하는것.
 2) 공사관리 목적
   - 발주자가 만족하는 건축물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노무, 시공, 자재, 기계, 자금의 효율적인 통제가 필요하다.
   - 기업이윤의 최대를 위해서는 관리를 통한 효율제고와 비용제거 통제관리가 필요하다.

 

2 공사관리의 종류(SQDC)
 1) 안전관리
   - 재해의 방지 및 안정성을 확보하기 위해 시행되는 활동.
   - 안전공학의적용 및 안전관리.
     * 노동재해의 실태를 파악하고 그 원인을 규명함.
     * 안전기준을 정하고 작업을 표준화함.
     * 기계의 조작법 및 예방조치, 보전관리방법을 확립함.
     * 위험물 취급/저장/보관 기준을 명확하게 함.
     * 공사 공해 발생을 방지.
     * 보호시설, 보호구, 안전표시 적용.
     * 안전교육을 통해 작업자들이 안전의식을 고취함.


 2) 품질관리
   - 발주자 또는 사용자의 요구수준을 충족하는 것.
   - 종합적 품질 관리(TQC ; Total Quality Control) 도입으로 종합적인 공사품질 향상가능. 또한 품질관리 및 공정관리, 원가관리, 안전관리까지 개선가능.
   - 품질관리의 세부항목
     * 기획 품질 관리
     * 설계 품질 관리
     * 시공 품질 관리
     * 시공후 품질 관리


 3) 공정관리
   - 투입되는 제자원을 종합적으로 통제하여 작업을 경제적이고 효과적으로 실시하기 위한 활동을 뜻함.
   - 공정관리 세부사항.
     * 공기를 엄수 또는 단축한다.
     * 가동률 및 능률을 높인다.
     * 공정의 정체발생을 억제하고 작업의 정확성을 높인다.


 4) 원가관리
   - 인력, 자재, 금액등 원가정보를 분석하여 실행가능한 경제적이고 경쟁력있는 시공원가를 확립하는 것.
   - 원가관리 세부활동.
     * 가동율의 향상.
     * 기계설비 및 장비의 다운타임 관리.
     * 품질관리 비용 제거.
     * 공정효율향상 및 공기단축을 위한 공정개선.
     * 구매혁신을 통한 원가절감.

 

3 시공 프로세스
 1) 시공계획 수립 프로세스
   ① 공사내용조사 : 현장정보, 주요기기사양, 관련건물정보
   ② 주요작업조사 : 자재, 공법, 시운전관련정보
   ③ 시공계획서작성 : 인원, 건설기계 투입계획, 공정표, 시공도등

 

 2) 플랜트 배관공사
   ① 배관공사 관련 정의
     - 배관 : 유체의 이송을 목적으로 파이프와 기기를 연결 접합하는 것
     - 플랜트 배관공사
       * 효율적인 유량제어를 위해 밸브 및 유량계가 부착됨
       * 접합하는 각 기기류의 기능 특성 구조에 대해 종합적으로 검토 필요
  ② 배관공사 고려사항
     - 관련법규 : 고압가스 운영방법, 소방, 위험물관련 법규에 준하여 시공


 3) 배관공사시공 프로세스
   ① 자재수령보관(스테인레스와 탄소강은 구분하여 보관)
   ② 자재실측
   ③ 가공(절단, 절곡)
   ④ 핏업(fit-up)
   ⑤ 용접
   ⑥ 열처리
   ⑦ 배관세정


 4) 공장제작과 현장제작
   ① 공장제작(Pre-Fabrication)
     - 대구경(75mm 초과), Spool 단위로 제작
     - 제작 품질이 우수함.
     - 공장제작을위한 제반설ㄹ비 증가
     - 관리의 이중화 복잡화 발생  
   ② 현장제작(Site-Fabrication)
     - 소구경적합(75mm 이하)
     - 직선구간이 많은 경우 가능
     - 배관공공수, 현장관리, 보관 공수 발생.


 5) 건설공사 계획수립 프로세스
   ① 공사계획
   ② 검토사항
   ③ 기본계획 수립
     - 기본사항
     - Master schedule 작성
   ④ 가설공사계획 수립
   ⑤ 인원투입계획 수립
   ⑥ 기타계획 수립


 6) 영업절차 프로세스(bidding process)
   ① 사업수행조직구성
   ② 내부관계자 회의
   ③ Planning & scheduling
   ④ 사업수행 기본계획 수립
   ⑤ 실행예산 수립
   ⑥ 원가관리 및 공정관리


 7) 설계 프로세스
   ① 개념설계(conceptual design)
   ② 기본설계(basic design)
   ③ FEED(Front-end Engineering design)
   ④ 상세설계(detail design)
   ⑤ 현장설계(field engineering)
     - 현장에서 설계변경사항 발생시 FCN(field change notice) 발생
   ⑥ 시운전/성능시험


 8) 구매 프로세스
   ① vendor list 작성
   ② 견적의뢰
   ③ 자재발주
   ④ 납기관리 및 검사
   ⑤ 선적관리
   ⑥ 시공


 9) 시운전 프로세스
   ① 시운전 작업준비
   ② 시운전 조직구성
   ③ Pre-commissioning
   ④ 시운전 시행(성능시험 포함)
   ⑤ 공장인도(turn-over)

반응형

'건축 > 건축일반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비계(Sacaffolding 飛階)  (0) 2024.09.19
공사발주유형(EPC & Turn-key)  (1) 2024.09.11
교각  (0) 2024.07.27
시멘트  (0) 2024.07.20