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 신재생에너지 개요
1) 정의
- 기존의 화석연료를 변환시켜 이용하거나, 햇빛 물 지열 강수 생물유기체등을 포함하여 재생가능한 에너지를 변환시켜 이용하는 에너지.
a 신에너지 : 연료전지, 수소, 석탄액화.가스화 및 중질잔사유 가스화
b 재생에너지 : 태양광, 태양열, 바이오, 풍력, 수력, 해양, 폐기물, 지열
2) 특징
- 미래 에너지원
- 친환경 청정 에너지원
- 비고갈 에너지원
3) 개발목적
- 화석연료의 고갈로 자원확보경쟁의 심화가 예상되며 고유가등으로 에너지 자립화 및 다양화 필요성 대두.
- 기후변화협약등 환경규제에 대응하기 위한 청정에너지 필요.
- 신재생에너지산업은 차세대 산업으로 시장규모가 팽창하는 미래산업임.
2 신재생에너지 상세 정보
1) 신에너지
① 수소에너지
- 개질, 수분해, 부생수소등으로 수소를 포집한뒤 연소 또는 연료전지의 원료로 사용하는 에너지원.
② 석탄가스화액화
- 가스화복합발전기술(Integrated Gasification Combined Cycle)
- 석탄, 중질잔사유등 저급원료로 일산화탄소 및 수소가 주성분인 합성가스를 만들어 연소시킨뒤 발전하는 기술.
③ 연료전지
- 수소와 산소의 화학반응을 통해 전기에너지를 직접변환하는 발전방식.
- 전기와 열을 동시에 생산하며 전기생산 30~40%, 열생산 40%로 총 70~80%의 효율을 낸다.
2) 재생에너지
① 태양광
- 빛의 광기전력을 이용한 발전
- 태양전지(solar cell) 모듈 전력변환장치로 구성된다.
② 태양열
- 태양으로의 복사열을 흡수하여 열에너지로 변환하여 냉난방 또는 발전에 사용하는 기술
- 집열부, 축열부, 이용부, 제어장치등으로 구성된다.
③ 바이오
- 정의 : 바이오매스를 직접 이용하거나 생화학적/물리적 변환 과정을 통해 액체/가스/고체연료나 전기/열에너지 형태로 이용하는 화학/생물/연소공학등의 기술.
- 바이오매스 : 태양에너지를 받는 식물과 미생물의 광합성에 의해 생성되는 식물체/균체와 이를 먹고 살아가는 동물체를 포함하는 생물유기체 일체.
④ 풍력에너지
- 바람의 힘을 회전력으로 전환하여 발생되는 전력.
- 설치의 제약이 적고, 구조가 비교적 간단하며, 관광자원으로의 부가적인 기능이 있다.
⑤ 해양에너지
- 해양의 조수/파도/해류/온도차등을 기계적인 운동으로 변환하여 전기를 생산하거나 또는 열을 활용하는 기술.
- 전기를 생산하기 위한 에너지의 전환 과정 : 해양에너지 -> 기계에너지 -> 전기에너지
⑥ 수력발전
- 물의 유동 및 위치에너지를 이용하는 기술.
- 2005년 이전에는 10MW이하를 소수력으로 규정하였으나 수력 전체를 신재생에너지로 정의하고 있다.
⑦ 지열발전
- 지하의 열등의 온도차를 이용하여 냉난방에 활용하는 기술.
- 심부지열(1~2km 지하)과 천부지열(10m 이내 지하)로 구분된다.
- 우리나라에는 천부지열로 연평균 일정한 지하온도를 냉난방용으로 이용하고 있다.
⑧ 폐기물에너지
- 폐기물을 변환시켜 연료 또는 에너지를 생산하는 기술.
- 열분해에 의한 오일화기술, 성형고체연료의 제조기술, 가스화에 의한 가연성 가스 제조기술 및 소각에 의한열회수기술등이 해당함.
- 폐기물의 가공처리방법을 통해 고체연료, 액체연료, 가스연료를 생산하고 이것을 연료로 산업에 필요한 에너지로 사용하는 것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