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 기어의 종류
1) 축기준
- 평행축 : 스퍼, 헬리컬, 랙&피니언, 내접기어
- 교차축 : 베벨, 크라운, 제롤베벨기어
- 어긋난축 : 웜, 하이포이드, 헬리컬 크라운
2) 기어 상세 정보
- 내접기어 : 내측으로 이가 난 기어. 인터날 기어라고 부른다.
- 베벨기어 : 두 기어가 이루는 원추각이 90도
- 크라운기어 : 피치면이 평면인 기어
- 제롤베벨기어 : 치면의 중간에서 측정한 스파이럴 앵글이 0도인 스파이럴 베벨기어의 하나. 고정밀 기어
- 하이포이드 : 구동축이 교접하지 않는 베벨형 기어
2 기어 부위별 용어
1) 피치점
- 직접 접촉에 의하여 전동하는 기계 요소가 서로 접촉하는 점
- 기어와 기어간의 피치원과 피치원의 접촉점을 말한다.
2) 피치원(PCD Pitch Circle Diameter)
- 두기어가 접촉 회전하여 구름운동을 하는 가상의 원
- 피치점이 형성하는 가상의 원
- PCD : Z x m
* Z:잇수, m:모듈
3) 원주피치
- 기어의 피치원상에서 한기의 이의 치면에서 다음이에 대응하는 단면까지의 원호길이
- 원주피치=피치원주/Z=πm
4) 법선피치(nomal pitch)
- 인벌류트(involute)기어에서 치형간의 공통수선(작용선)에 따라 측정한 피치
- 기초원의 원주를 잇수로 나눈값과 같다.
5) 모듈
- 기어 치형 크기의 단위
- 피치원에서 이끝까지의 높이
- m=PCD / Z
6) 잇수
- 기어의 이빨 수
7) 원주피치
- 처음 이와 다음 이와의 피치원 위의 원호 길이
8) 이끝원(D0)
- 기어외경
9) 이뿌리원(Di)
- 이뿌리를 연결한 원
- Di=D0-2(1-1.25m)=PCD-2x1.25m
10) 이끝높이
- 피치점에서 이끝원까지의 높이(m:모듈)
11) 압력각
- 맞물리고있는 두 기어의 피치점에서의 피치원에 대한 접선과 작용선이 이루는 각.
3 기어의 생산
1) 기어 생산의 특징
- 일반적인 생산 및 높은 생산성을 위해서는 주조법을 이용하여 기어를 제작한다.
- 정밀한치형 및 고하중을 위한 기어제작을 위해서는 절삭가공을 이용한다.
* 스퍼기어는 호브 또는 피니언형 커트로 황삭수준의 치절삭을 한뒤 세이빙가공으로 정밀도를 높이고 열처리 후 호닝다듬질로 마무리한다.
2) 기어 주조 생산
① 샌드캐스팅(sand casting)
② 인젝션몰딩(injection molding)
③ 인베스트먼트 주조법(investment casting)
④ 영구주조법(permanet mold casting)
⑤ 다이캐스팅(die casting)
⑥ 분말야금(powder-metallurgy process)
⑦ 원심주조법(centrifugal casting)
⑧ 냉간전조(cold rolling)
3) 기어 가공 생산
① 기어밀링(milling)
- 인벌류트 기어 가공이 적용됨. 기어 창성이라 불림.
- 특별한 치형을 가진 소량 생산품이나 교체 기어용에 한정되어 적용됨.
② 기어호빙(hobbing)
- 웜형 공구의 회전 및 상대물의 회전으로 기어 날 절삭.
- 생산성이 높고 높은 가공정밀도로 제작되어 일반적으로 채택되어 적용됨.
③ 기어셰이핑(shaping)
- 웜형 공구대신 피니언형 공구가 사용되며 관 내부를 가공하여 기어를 제작한다.
④ 기어셰이빙+기어호닝(honing)
- 기어를 가공한뒤 정밀도를 높이는 가공방식.
⑤ 기어브로칭(broching)
- 브로치(다수의 이가 가공된 공구)를 당기고밀면서 금속을 성형하는 방법을 적용하여 기어를 제작하며 매끔한 다듬질면을 생성가능하다.
⑥ 그라인딩(grinding)
- 2개의 접시형 숫돌이 치면을 형성하고 연삭기어가 치형을 창성하는 방식.
'기계공학 > 기계공학일반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유성기어 (0) | 2024.09.24 |
---|---|
기어 치의간섭과 언더컷(전위기어) (0) | 2024.09.23 |
체인전동 (0) | 2024.09.18 |
화이트메탈 (0) | 2024.09.17 |
철강 제조 프로세스 (0) | 2024.09.02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