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 개요
1) 도장의 목적
- 반제품인 도료가 완제품인 견고한 도막을 형성하기 위한 수단
- 도막화는 피도물의 수명유지에 기여하고, 미려한 외관을 부여하며, 특정한 기능을 부여함.
2) 도장의 특성
- 도장의 목적과 효과를 위해 주의사항이 필요.
* 피도물에 따른 도장방법 고려 필요
* 도료 종류 따른 도장방법 고려 필요
* 도장환경에 따른 도장방법 고려 필요
2 도장의 절차
1) 도장을 위한 설비
- 도료 : 믹싱룸, batch
- 전처리 : 전처리제, 전처리장치
- 도장장치 : 도장기기(스프레이, 에어), 부스
- 건조장치 : 열풍건조로, 적외선 건조로
- 품질관리 : 점도계, 도막두께측정기, 색차계등
2) 도장 공정
① 전처리 : 먼지, 이물질등을 닦아내어 표면을 청결하게 유지함. 필요시 연마, 화학처리등으로 표면처리함.
- 물리적연마 : 수공구연마, 동력공구연마, Blast cleaning(모래나 철입자를 뿜어서 표면의 녹, 이물질을 제거하는 방법)
- 화학적연마 : 용제탈지(degreasing), 알칼리탈지(계면활성제등 사용), 에멀젼탈지, 증기탈지
- 산세정(산세, pickling) : 각종 산을 이용하여 표면의 녹과 흑피를 제거하는 방법
* 흑피(millscale) : 연강을 570~1370℃ 온도로 가열하거나 570℃ 이하에서 압연될 경우 강표면에 산화피막층이 생성한다.
- 화성처리(chemical conversion treatment) : 금속표면에 안정된 화합물을 생성되게 하는 것으로 인산염처리, 흑염처리, 크로메이트처리 등이 있다.
② 도료배합 : 제품의 특성 및 도료의 특성에 맞추어 적절한 배합을 한다. 추천된 경화제를 통해 혼합.
③ 도장 : 도료를 피도장면에 도장한다.
④ 건조 : 도장된 면을 건조시켜 도막을 만든다.
⑤ 연마 : 도장면의 평활을 위해서 연마제로 연마를 한다.
⑥ 재도장 : 목표하는 도막을 형성하기 위해 중복하여 도장한다.
3 도장의 종류 및 품질관리
1) 도장방법
- 붓도장
- 롤러도장
- 주걱도장
- Air spray :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도료를 분무하여 도장하는 방법
- Airless spray : 도료를 노즐을 통해 미립화하여 스프레이하는 방법. 고압의 피스톤 펌프 사용하여 선박강교등 크고 평활한 피도물에 적용.
- 분체도장 : 도료를 분말형태로 분무하여 도장하는 방법. 유기용제나 물을 사용하지 않고 고형물로 도장하는 방법
- 정전도장 : 정전기를 이용하는 방법. 도료가 (-)로 대전되어 접치된 피도체(+)에 흡착되는 방식.
- 전착도장 : 잔착용 도료를 피도물에 침적시키고 전류를 통하여 피도물표면에 전기적으로 도막을 석출하는방법
- 침지도장 : 물품을 도료안에 침지하여 건조하는 방법. Dipping 이라고도함.
2) 도장 품질관리(도장 검사기기)
- 표면조도측정기
- 도막측정기
- 색차기
- 광택기
- 점도계, 점도컵