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
연소점 2

인화점과 발화점

1 인화점(flash point) 1) 인화점 정의 - 기체 또는 휘발성 액체에서 발생하는 증기가 고익와 섞여서 가연성 또는 완폭발성 혼합기체를 형성하고 여기에 불꽃을 가까이 댔을때 순간적으로 연소하는 최저온도를 뜻한다. * 연소점 : 인화점을 넘어서 가열된 상태로 불꽃을 가까이 댔을대 계속하여 연소하는 온도로 인화점보다 높으며 지속적인 연소를 유발하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. - 인화성액체의 화재위험성을 나타내는 지표 - 가연성 액체의 액면 가까이에서 인화할때 필요한 증기를 발산하는 액체의 최저온도 - 하부인화점과 상부인화점으로 나뉘며 일반적으로 하부인화점을 인화점이라한다. 2) 인화점의 특징 - 물질에 따라 특유한 값을 보인다. - 액체의 인화성을 판단하는 수..

연료의 연소 및 특성(인화점/발화점)

1 연료의 연소 특성 1) 발열양(caloricfic value)    - 단위질량의 연료가 완전 연소시 발생하는 열량을 그 연료의 발열량이라고 한다.    - 열의 양을 연료의 kg당 kcal로 측정한다.(단위 : kcal/kg) 2) 인화점(flash point)   - 가연성 증기를 만들수 있는 최저 온도이며, 가연성 물질의 표면에 화염을 접촉시켰을때 인화(불이 옮겨 붙음)되는 최저 온도 .     * 인화점은 기화된 연료표면에 불꽃이 생기는 온도이다.    - 비중이 낮은 것이 인화점이 낮은 동시에 화재의 위험성이 많다. 3) 발화점(ignition point)   - 착화원(화염, 전기불꽃)이 존재하지 않은 상태에서 물질이 발화(또는 폭발)되는 최저온도.   - 연소물, 산소의 조건이 갖추어진 ..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