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 연료의 연소 특성
1) 발열양(caloricfic value)
- 단위질량의 연료가 완전 연소시 발생하는 열량을 그 연료의 발열량이라고 한다.
- 열의 양을 연료의 kg당 kcal로 측정한다.(단위 : kcal/kg)
2) 인화점(flash point)
- 가연성 증기를 만들수 있는 최저 온도이며, 가연성 물질의 표면에 화염을 접촉시켰을때 인화(불이 옮겨 붙음)되는 최저 온도 .
* 인화점은 기화된 연료표면에 불꽃이 생기는 온도이다.
- 비중이 낮은 것이 인화점이 낮은 동시에 화재의 위험성이 많다.
3) 발화점(ignition point)
- 착화원(화염, 전기불꽃)이 존재하지 않은 상태에서 물질이 발화(또는 폭발)되는 최저온도.
- 연소물, 산소의 조건이 갖추어진 조건에서 자연적으로 연소가 발생하는 최저온도.
4) 연소점(fire point)
- 연료의 온도가 인화점보다 높게되면 1회 착화 후 연소가 계속되는데 이 계속되는 온도를 연소점이라한다.
- 연소가 계속되기 위한 온도
* 연소점 = 인화점 + 10℃
* 온도분포 : 발화점 > 연소점 > 인화점
5) 각종 연료의 인화점 발화점
- 가솔린 인화점 : -40℃이하, 발화점 : 300℃
- 등유 인화점 : 30~60℃, 발화점 : 255℃
- 경유 인화점 : 50~70℃, 발화점 : 250℃
2 연료의 기타 특성
1) 연료소비량
- 연료소비율은 시단당, 마략당질량으로 표시한다.(kg/PSh)
- 연료소비량은 시간당 마력당 용적으로 나타낸다. liter/PSh
- 엔진의 품질과 엔진회전수 압축비에 의해 변동된다.
2) 유황분함량(sulfur)
- 유황은 엔진에서 SO2로 변화하여 규제되고 있는항목임.
- 황분은 부식성을 가지고 있어서 엔진의 마모를 일으키며, 연소실과 피스톤에 침적양을 증가시킨다.
- 국내의 경우 황함량은 10PPM 이하 초저유황유로 제조 유통되고 있다.(500PPM이하 내항선)
3) 착화성
- 디젤기관에서 착화지연, 디젤노크 발생과 압력상등의 영향을 미치는 요소이다.
- 세탄가로 표시하며 세탄가가 높을수록 착화성이 용이하다.(노크 발생이 적어진다.)
'기계공학 > 기계공학일반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마력(HP/PS) (0) | 2025.02.25 |
---|---|
납축전지(차량용배터리 ; battery) (0) | 2025.02.13 |
유체수송장치 (0) | 2025.01.24 |
경유(디젤 ; diesel) (0) | 2025.01.17 |
허용응력과 안전계수 (0) | 2025.01.13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