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 마력의 종류 및 표시
1) 순간최대마력
- 엔진 최대 출력마력.
- 피스톤속도, 배기온도 및 연료소비율 조건에 제한이 없음.
- 단시간내 출력을 의미함.
2) 실용최대마력
- 정격회전속도에 의해 1시간 이상 연속 시험에 견딜수 있는 실용상의 최대마력
- 배기온도 600도 이하, 연료소비율 240g/ps.hr의 조건상태
3) 실용정격마력
- [실용최대마력]과 동일조건하 10시간 이상 연속시험에 견딜수 있는 마력
- [실용최대마력]의 85% 수준
- 1일이내내 / 연속작업하는 기계에 적용함
4) 연속정격마력
- 장시간운전하는 기계(펌프, 선박)에 적용하는 마력
- 실용최대마력의 75% 적용
- 정격마력의 90% 부하로 10시간 연속값으로 간주함.
2 마력의 분류
1) 지시마력/도시마력(indicated power ; IHP)
- 엔진 실린더 내 작동가스 압력의 변화에 의해 연소실 내에 발생하는 출력에 대한 것.
- 실린더 내부에서 실제 발생한 마력.
- 실린더 내부압을 측정하여 도출.
2) 제동마력(break power ;BHP)
- 압축기나 펌프등 작업기계를 구동할때 요구되는 마력.
- 기관의 크랭크축에서 얻을 수 있는 출력, 실제 이용되는 출력값.
- 정미마력 / 축마력 으로 불림.
- 브레이크 동력계를 사용하여 측정하기 때문이 이름이 명명됨.
3) 마찰마력/손실마력(friction power ; FHP)
- 기계 마찰등으로 손실되어 요효한 일을 할 수 없는 마력
- BHP = IHP - FHP
3 기타 마력 관련 사항
1) 기계효율
- 효율의 계산 : 기계효율 = BHP/IHP x 100
* 4사이클 기관 : 80~85%
* 2사이클 기관 : 60~80%
2) 축마력
- 실제로 원동기에서 동력축으로 전해지는 마력. 축에 가해지는 토크를 측정한 것.
* 선박의 경우 엔진에서 프로펠러로 연결된 축에 전달되는 동력.
- 지시마력(IHP)에서 마찰등의 손실마력을 뺀 것.
- 왕복기관 : 85~90%, 내연기관 : 70~80%
3) 추력마력
- 프로펠러가 전달마력(delievery HP)를 공급받아서 작동한 결과 선박을 추진시키는 마력
- 프로펠러가 발생시킨 스러스트와 프로펠러의 전진속도를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.
4) 마력의 전달(선박기준)
지시마력(indicated HP) -> 제동마력(break HP) -> 축마력(shaft HP) -> 전달마력(delievery HP)) -> 스러스트마력(thrust HP) -> 유효마력
'기계공학 > 기계공학일반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디젤연소 (0) | 2025.02.28 |
---|---|
데칼/명판(decal/name plate) (0) | 2025.02.27 |
납축전지(차량용배터리 ; battery) (0) | 2025.02.13 |
연료의 연소 및 특성(인화점/발화점) (0) | 2025.02.11 |
유체수송장치 (0) | 2025.01.24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