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 유체수송장치 개요
1) 유체수송장치의 정의
- 토사나 기타 혼합물을 수력 또는 공기력으로 수송하는 장치.
- 수력으로 운반하는 수력컨베이어와 공기에의해 수송하는 공기수송기가 있다.
2) 유체수송장치의 특징
- 기계적인 구동부가 불필요하다.
- 관로하나로 수송이 가능하다. 수송에 필요한 시설물의 구조가 간단하다.
- 수송로는 차폐되어 외부로 방출되는 소음이 없고 수송물의 오염을 막을 수 있다.
- 단위운반당 필요 소요 동력이 벨트컨베이어와 버켓엘레베이터에 비해 크다.
- 수송할 재료에 제약이 있다.
2 유체수송장치의 종류
1) 수력컨베이어
① 종류
- 고체혼합액용 펌프
* Sand pump : 임팰러를 통한 원심 동력 이용.
* Concrete pump : 용적형 펌프를 이용하여 압송
- 하이드로 호이스트(hydro-hoist) : 혼합액을 압송하는 방법으로 석탄등 수송에 사용
* jet pump : 고압수를 분사시켜 고체 혼합액을 흡인하여 수송
② 용도
- 모래, 석탄, 철광석등 광범위한 고체 수송
2) 공기수송기(Pneumatic conveyor)
① 종류
- 진공흡입식(suction type)
* 진공펌프가 시스템의 최후단에 설치되어 공기를 흡입하는 방식.
- 압송식(pressure type)
* 블로어가 시스템의 초입에 설치되어 수송물과 혼입되어 수송지점으로 밀어내는 방식.
② 수송기 구성
- 송수관(conveying piping)
* 수송 효율에 영향을 미치므로 수송물에 따라 관지름 및 재질을 선택해야함.
- 분리장치(separator)
* 사이클론 분리기, 리시버, bag filter
- 혼입기 : 수송물을 수송관으로 투입시키고 공기중에 혼입시켜 수송을 일으킬 수 있게 만드는 장치.
* 흡입노즐
* 인젝션 피더
* 로터리 피더
③ 특징
- 밀폐한 수송관속에 20~30m/s로 흐르는 공기에 입체 분체등 운반물을 흡입시켜 부유하며 수송하는 방식.
- 다양한 운반물을 수송할 수 있다.
- 점착성과 습기가 있는것은 부적당하다.
- 재료의 손실이 없고 위생적이다.
- 장치가 간단하다
- 다양한 분리방법이 개발되어 적용중이다(원심, 사이클론 방식등)
④ 설계
- 공기의 속도
* 관내 고속의 기류를 통하여 분산물입자를 놓으면 공기의 속도에 의해 입자가 부유하게 된다.
- 소비동력
* 입자의 성질, 공기의 밀도, 관의 크기와 길이, 노즐구조에 따라 달라진다.
* 컨베이어 제작사가 제공하는 동력표를 통해 계산한다.
cf. 곡류 20~100m 수송시 필요한 동력 1.7 PS
'기계공학 > 기계공학일반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납축전지(차량용배터리 ; battery) (0) | 2025.02.13 |
---|---|
연료의 연소 및 특성(인화점/발화점) (0) | 2025.02.11 |
경유(디젤 ; diesel) (0) | 2025.01.17 |
허용응력과 안전계수 (0) | 2025.01.13 |
기계장치의 진동과 소음 (0) | 2024.12.24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