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
전체 글 261

가설통로

1 가설통로 개요 - 구조물등 내외부에서 사람이 이동하기 위한 이동 통로. - 가설통로와 사다리식통로로 구분된다. 2 가설통로 구조(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 23조) - 견고한 구조로 할 것 - 경사는 30도 이하로 할것 * 계단을 설치하거나 높이 2m 미만의 가설통로로서 견고한 손잡이를 설치한 경우에는 제외. - 경사가 15도를 초과할 경우 미끄럼을 방지하는 구조로 할 것. - 추락의 위험이 있을 시 안전난간 설치.(부득이한 경우 일부 해체 구조 가능) - 수직갱에 가설된 통로의 길이가 15m 이상인 경우 10m 마다 계단참을 설치. - 건설공사에 사용되는 높이 8m 이상인 비계다리에는 7m 이내마다 계단참 설치. 3 사다리식 통로의 구조(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..

보호구(안전보호장비)

1 보호구 1) 보호구의 정의 - 산업재해 방지를 위해 근로자 개개인이 착용하고 작업하는것 - 인체에 미치는 각종 위험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장구 2) 보호구의 목적 - 보호구는 재해시 피해를 최소화하는 역할만 할 뿐 재해예방을 위한 수단의 최상의 방법은 아니다. - 재해예방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보호구의 적용이 필요하다. 2 보호구의 종류 1) 안전모 - 종류 : 낙하/추락방지용, 낙하, 감전 방지용, 다목적용 - 역할 : 중량물의 비래/충돌등 근로자 자신의 추락시 충격을 완화하고 흡수하여 머리를 상해로부터 보호한다. 전기작업시 감전을 예방한다. 2) 보안경 - 종류 : 일반보안경, 차광보안경 - 역할 : 칩, 약품등 비래하는 위험과 유해광선을 차..

공정안전보고서(PSM)

1 공정안전보고서 개요 1) 정의 ① 정의 - 공정안전보고서 PSM, Process Safety Material의 약자 - 산업안전 보건법 제 49조 2 규정으로 정하는 유해위험설비를 보유한 사업장의 사업(주) 대상임 - 설비로부터 위험물질 누출, 화재, 폭발등으로 사업장 내의 근로자에게 피해를 주거나 사업장 인근지역에 피해를 줄 수 있는 사고를 예방하기 위하여 사업주는 공정안전보고서를 작성하여 고용노동부장관에게 제출하고 이를 이행하며 사업장에 갖춰두어야함 ② 공정안전보고서 작성 - 공정안전보고서를 작성할때에는 산업안전보건위워회의 심의를 거쳐야한다. - 공정안전보고서를 제출한 사업주는 고용노동부장관(고용노동부)의 확인을 받아야한하며 사업주와 근로자..

유해위험방지 계획서

1 유해위험방지 계획서 1) 유해위험방지 계획서의 정의 - 유해위험방지계획서는 작업을 수행하는 도중 발생할 수 있는 유해물질이나 위험요인을 사전 조사를 통해 예방하고 안전한 작업을 위한 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내용으로 작성되는 문서 - 산업안전보건법 규정에 따라 반드시 제출되어야 하는 문서 -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업종 및 규모에 해당하는 사업의 사업주는 해당 제품생산공정과 지적접적으로 관련된 건설물, 기계, 기구 및 설비등 일체를 설치, 이전하거나 그 주요 구조부분을 변경할 때에는 유해위험방지계획서를 작성하여야함 * 유해하거나 위험한 작업을 필요로 하는 것 * 유해하거나 위험한 장소에서 사용하는 것 * 건강장애를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 ​ 2) 유해위험방지..

물질안전보건자료(MSDS)

1 물질안전보건자료 개요 1) 정의 - 물질안전보건자료는 MSDS(Material Safety Data Sheet)로도 표기가능. - 화학물질에 대하여 유해위험성, 응급조치요령, 취급방법등 16가지 항목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해주는 자료. 2) 적용 - 화학물질 및 화학물질을 함유한 제제를 제조, 수입, 사용, 저장 운반하고자 하는 자는 MSDS를 작성, 비치 또는 게시하고, 화학물질을 양도 또는 제공하는 자는 MSDS를 함께 제공토록한다. 3) 작성구성 ① 물질안전보건자료 기재사항 - 대상화학물질의 명칭, 구성성분의 명칭 및 함유량 - 안전보건상의 취급주의사항 - 건강 유해성 및 물리적 위험성 - 그밖에 노동부령으로 정하는 사항 ※ 요약 ..

풀프루프(foolproof), 페일세이프(failsafe), 템퍼프루프(temperproof)

1 풀프루프(fool proof) 1) 정의 - 인간의 실수가 사고로 연결되지 않도록 통제를 가하는것 - 휴먼에러가 직접적으로 고장 또는 사고로 이어지지 않도록하는 기계장치 또는 체계. 2) 특징 - 사고 발생의 주요 원인인 불완전한 행동을 막는 방법 3) 안전장치의 종류 - 가드 - 인터록 - 트랩기구 : 신체등이 위험영역으로 들어갈 때 기계가 정지 및 역동작 - 오버런기구 : 기계나 장치가 작동을 멈추어도 일정시간 지할때까지 가드를 열지 않는것 - 밀쳐내기기구 : 위험상태가 되기전에 신체등을 밀어내거나 당긴다. - 기동방지기구 : 기계의 기동을 자동적 수동적으로 방지 2 페일세이프(fail safe) 1) 정의 - 기계의 고장이 있어도 사고..

인화점과 발화점

1 인화점(flash point) 1) 인화점 정의 - 기체 또는 휘발성 액체에서 발생하는 증기가 고익와 섞여서 가연성 또는 완폭발성 혼합기체를 형성하고 여기에 불꽃을 가까이 댔을때 순간적으로 연소하는 최저온도를 뜻한다. * 연소점 : 인화점을 넘어서 가열된 상태로 불꽃을 가까이 댔을대 계속하여 연소하는 온도로 인화점보다 높으며 지속적인 연소를 유발하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. - 인화성액체의 화재위험성을 나타내는 지표 - 가연성 액체의 액면 가까이에서 인화할때 필요한 증기를 발산하는 액체의 최저온도 - 하부인화점과 상부인화점으로 나뉘며 일반적으로 하부인화점을 인화점이라한다. 2) 인화점의 특징 - 물질에 따라 특유한 값을 보인다. - 액체의 인화성을 판단하는 수..

크레인안정도(전방안정도 / 후방안정도)

1 전방안정도(forward stability) 1) 개요 및 정의 - 크레인의 붐측(전방)의 안정성을 수치화한 것으로 크레인 안전 상태 척도이다. * 전방안정도의 값이 클수록 안정된 상태이다. - 이동식 크레인 전방안정도 * Wp : 지브중량 중 선단부 등가중량(t) * Wa : 권상하중 * Wc : 안전여유하중 2) 전방안정도 유지조건 - 크레인의 종류에 따라 정격하중의 1.15~1.27배 하중을 걸어서 시험함 - 산업안전보건법(이동식 크레인에 관한 기술지침)에서 규정하는 크레인 전방안정도는 1.15 이상임 - 전방안정도에 영향을 주는 중량은 크레인의 전방안정도에 관하여 가장 불리한 상태에 있는것으로 한다.2 후방안정도(backward stability)..

블로그의 목적 및 저작권 관련 사항.

본 사이트의 목적은 건설기계 및 기계관련 업무를 담당하는 인원 및 학습하는 인원을 위한 정보 자료로서,관련분야의 전문지식 공유 및 최신 동향을 공유하고자 개설하였습니다. * 자료 중 저작권 침해 상황이 발생할 수 있어 저작권법 제 130조에 의거하여 복제/전속의 중단 소명을 위한 사전조치로, 수령인 지정 및 공지를 다음과 간이 하오니 저작권 침해 소지가 있다면 삭제 요청을 부탁드립니다. valuefurnace.chief@gmail.com

카테고리 없음 2025.04.19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