기계공학/건설기계

운반기계

chief Artisan 2024. 10. 21. 05:00
반응형

1 운반기계
 1) 운반기계 정의
  - 토사, 골재, 암석 각종 건설용 재료, 기계기구등을 필요한 곳으로 수평/수직이동하는데 쓰이는 기계로 운반거리 1km 이상의 기계.
 2) 운반기계 선정방법
  - 경제성과 기동성 향상을 위해 대형 및 고속기계로 제작되고 있음.
  - 운반거리, 운반물, 이송도록 및 건설비, 구입비, 운전경비, 공사성격에 따라 운반기계 선정에 영향을 미침


2 운반기계의 종류
 1) 삭도
   ① 구조
     - 지주와 지주를 와이어로프 또는 플린튼로프로 설치하며 버킷, 주행장치, 포삭기assy를 움직이며 화물을 운반한다.
     - 하중용 지선을 지삭, 견인용 지선을 예삭이라한다.
     - 지주와 지주는 80~160m 간격으로 설치됨
   ② 특징
     - 산간등 차량운송이 어려운 지형에서 양쪽 철탑을 케이블로 연결하여 화물을 운반하는것.
     - 지삭과 예삭을 1개씩 설치하는게 일반적이며, 하물의 종류 및 중량에 따라 1지삭-2예삭, 2지삭-1예삭, 2지삭-2예삭등으로 다양하게 운용된다.
   ③ 종류
     - 단선식
       * 고저차가 큰곳 시간당 20t운반
       * 1개의 지삭(강삭)만으로 운용함.
     - 복선식
       * 고저차가 적은곳 시간당 20~200t 운반
       * 지삭과 예삭을 설치하고 왕복하여 운반하는것. 일반적인 운용방법.
 2) 컨베이어
   ① 구조
     - 플랫한 벨트위로 화물을 놓고 벨트를 원동기의 동력으로 구동시켜 운반하는 장치
     - 정치식과 이동식이 있으며 일반적으로 정치식을 사용하고 이송량은 30,000~35,000t 수준이다.
   ② 특징
     - 작업속도가 균일하며 운전원의 기능과 상관없이 작업량이 일정하다.
     - 설비가 간단하고 대용량 하물 운반에 경제적이다.
   ③ 종류
     - 벨트컨베이어
       * 흙, 골재, 쇄석운반용
       * 톤당 운반단가가 경제적이다.
       * 운반거리가 길고 설치조건이 단순하다.
     - 스크류컨베이어
       * 스크류의 회전방향에 의하 가루 또는 시멘트등을 운송한다.
       * 자급식, 유니폼식이 있다.
     - 버켓컨베이어
       * 가루, 시멘트, 쇄석등을 급경사(60도 이상) 또는 수직방향으로 운반하는 기기
       * 체인, 버켓, 스프로켓휠로 구성되며 1~300t의 운반능력을 가진다.
     - 피더(feeder)
       * 이송물을 컨베이어구조물로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장치
       * 이송량이 일정하지 않으므로 정량운반필요시 조정장치가 필요하다
       * 체인피더, 에이프런피더, 플레이트피더, 벨트피더 등이 있다.

피더


 3) 트랙터 트레일러
   ① 구조
     - 트랙터 후미에 트레일러를 연결하여 각종 운반물을 운송
   ② 특징
     - 대형 고하중 중량물의 장거리 운송이가능하다.
   ③ 종류
     - 세미 트레일러 : 하중의 일부를 견인차가 지탱하는 방식



     - 풀 트레일러 : 하중의 전부를 트레일러가 지탱하는 방식


     - 덤프 트레일러
 4) 덤프트럭
   ① 용도 : 토사운반, 기계운반에 사용
   ② 특징
     - 중장거리 운반등에 이용됨
     - 다용도로 사용가능하며 대수증감조절이 용이하다
     - 타 공사와 전용이 가능하다
     - 정비가 용이하다
     - 최대적재중량 또는 엔진출력으로 성능을 표시한다.
   ③ 종류
     - 리어덤프
     - 사이드덤프
 5) 기관차
   ① 특징
     - 운반거리가 1km 이상인경우 경제적
     - 다수의 토운차를 견인할 수 있으므로 대용량 처리가 가능
   ② 종류
     - 배터리기관차
     - 디젤기관차

반응형

'기계공학 > 건설기계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천공기(drill machine)  (0) 2024.11.14
건설기계의 도로주행  (0) 2024.11.12
말뚝기계시공 기계  (0) 2024.10.18
타워크레인의 설치 및 설치주의사항  (0) 2024.10.17
타워크레인의 종류  (0) 2024.10.16