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 파워셔블(power shovel)
1) 파워셔블의 개요
- 상부체가 선회하는 트랙터에 붐과 디퍼버켓을 장치한 셔블계 굴착기의 기본형인 건설기계.
- 암대신 디퍼스틱이 설치되고 디퍼스틱은 디퍼버켓에 연결되어 디퍼의 작업반경을 유지한다.
- 주로 기계보다 높은곳의 토사를 버켓을 밀어올리면서 굴착하며 성토 및 정지등의 작업을 수행한다.
- 굴착한 토사를 견인후 상부체를 회전시켜 운반기계에 적재하거나 자주로 단거리 운반을 한다.
- 강력한 굴착력으로 광산등에 사용되었으나, 다양한 어태치의 개발로 시가지공사, 하천공사등 범용성이 높아졌다.
- 붐각도 : 35~65도(45도가 가장 능률적)
2) 분류
- 파워셔블은 버켓(bucket)의 용량 또는 주행장치등으로 구분한다.
* 버켓용량은 산적용량(㎥)으로 표시(평적용량을 병기함)
* 0.6㎥-소형, 3㎥-중형, 그이상 대형으로 분류
- 주행장치에 따라 크롤러와 휠로 구분.
- 와이어로프방식의 기계식과 유압식으로 구분.
2 백호(backhoe / BH)
1) 백호의 개요
- 구동부는 파워셔블과 동일하나 어태치에서 차이가 있다.
* 선회가 가능한 상부체 트랙터에 붐과 암 버켓을 장치한 것.
- 버켓을 기계쪽 아래로 끌어당기면서 작업하여 백호라 불린다.(Back+ Hoe).
* 기계의 위치보다 낮은 위치의 토사를 굴착할때 사용한다.
* 풀셔블(pull shovel), 드래그셔블(drag shovel)이라 불리며 일반적인 형태의 유압식 굴착기(excavator)가 백호이다.
- 좁은장소의 굴착에 효과적이며 넓은 면적의 기초나 수중굴착 및 토사의 운반/적재/살포에도 이용된다.
2) 분류
- 셔블계굴착기중 가장 많은 종류를 가진다.
* 백호의 버켓은 교환 탈착이 가능하므로 표준버켓(standard bucket)의 산적용량으로 백호 크기를 나타낸다.
* 0.02㎥(마이크로), 0.035~0.15㎥(미니), 0.2~0.6(소형), 0.7~1.0㎥(중형), 1.1~2.7㎥(대형), 2.8~9.5㎥(중대형), 10㎥이상(초대형) 이 일반적 판단기준(절대적인 기준아님)
- 파워셔블과 마찬가지로 크롤러와 휠로 구분 가능.
a 크롤러 : 2~5km/h의 주행속도, 늪지/습지/험로/채석장 및 좁은 지역에 적합함.
b 휠타입 : 30~40km/h 정도 속도. 일반도로 이동가능.
- 붐(boom), 암(arm)의 길이를 다양화하여 여러조건의 굴착에 사용가능하다.
- 동력전달에 따른 분류
a 와이어로프식 : 버켓중량으로 굴삭.
b 유압식 : 유압력에 의한 굴삭, 굴삭력의 조절이 용이하여 많이 이용됨.
3) 어태치먼트 종류
- 표준버켓(일반형태)
- 디칭버켓(ditching bucket) : 하수관, 좁은도랑 굴착용
- 이젝터버켓(ejector bucket) : 점질토사의 굴착시 버켓에서 배출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버킷 배면을 전후로 작동시킬수 있도록 한 것.
- v-버켓 : 수로굴착시 사용.
- 리퍼 : 중앙에 강력한 투스를 설치한 것.
- 다짐용버켓(compacting bucket)) : 광폭 다짐용.
'기계공학 > 건설기계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쇄석기(쇄석장치, crasher) (0) | 2024.08.29 |
---|---|
건설기계 선정시 고려사항 (0) | 2024.08.23 |
건설기계소음 (0) | 2024.08.21 |
건설기계의 구조변경 (0) | 2024.08.20 |
크레인 기본동작 및 하중의 종류 (0) | 2024.08.14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