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1 버켓 용량 표기 종류
1) 규격표시 정의
- 굴삭기 버켓 용량은 평적(Struck volue)와 산적(Heaped Volume)으로 구분하고 있다.
- 일반적으로 산적으로 표기한다.
* 카달로그에서 Heaped Capacity라고 표현됨.
- 산적을 계산하는 방법은 규격에 따라 2가지(ISO, CECE방식)이 있다.
2) 용량표시 종류(산적을 표현할때 쓰이는 규격)
- PCSA
- ISO
- CECE
* ISO, PCSA와 SAE는 같음
- SAE(PCSA)
2 용량표기 방식
1) 버켓 용량 표기방법
- 버켓면 위에 쌓이는 작업물질의 양 계산에 있어 흘러내림에 따라 표현하는 방식이 다름
2) 버켓 용량 표시 변경
- 국내 굴착기 버켓 용량이 CECE에서 SAE규정으로 변경됨
3) 규격 운영 현황
- 유럽 및 북미 : SAE방식 적용
- 일본 : 1995이전에는 JIS에서 CECE 규정을 따랐으나 新 JIS에서는 SAE규격을 따름
- 국내 : 건설기계 안전기준에 관한 규칙에 따라 ISO규격을 따른다.(산적, SAE규격(ISO)을 따른다.)
참고 : 버켓 각 부 명칭
반응형
'기계공학 > 건설기계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아스팔트 포장기계의 종류 (0) | 2024.09.06 |
---|---|
콘크리트 기계의 종류 (0) | 2024.09.06 |
건설기계 어태치먼트의 종류 (0) | 2024.08.30 |
쇄석기(쇄석장치, crasher) (0) | 2024.08.29 |
건설기계 선정시 고려사항 (0) | 2024.08.23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