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
기계공학 201

타이어의 마모

1 타이어의 마모 개요 1) 타이어 마모의 원인    - 구동 및 제동간 발생한 마모  2) 마모에 의한 현상    - 하이드로플래닝(마찰력 저하로 차량조정이 불가한 상태)     - 웻그립(젖은 노면접지력) 3) 타이어 마모의 영향요인    - 부하능력 : 타이어가 건설기계의 하중을 견디는 정도로 건설기계의 고도화 대형화로 인해 상향된 부하능력이 요구됨.    - 내마모성 : 타이어의 소재 및 형상으로 제어됨.    - 견인력 : 차량의 마찰력과 연관되며 마찰계수(견인계수)는 타이어의 마모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침.  4) 타이어 마모의 방지    - 너무 높은 공기압상태로 주행하지 않을것(규정된 공기압 사용)    - 급발진, 급정지등의 주행을 하지 않을것.    - 초과 적재시 저속운전할 것. 2 ..

타이어(tire)

1 타이어의 역할 1) 차체 하중 지탱    - 타이어는 차량의 무게를 지탱하여 설계된 자세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함.  2) 자동차의 주행    - 차량의 엔진에 의해 발생된 동력이 구동력을 발생시켜 앞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함.    - 브레이크를 통해 타이어와 노면사이에 마찰을 일으켜 발생한 제동력으로 차량을 정지함.    - 타이어에 발생하는 힘      * 구동력 : 타이어와 지면의 마찰에 의해 차체를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힘.       * 제동력 : 바닥에서 앞으로 더 미끄러지지 않도록하는 힘. 타이어를 멈추게 하는 힘.      * 횡력(Side Force) : 자동차의 방향을 변경하는 힘으로 cornering force라고도한다. 타이어가 굴라갈 때에도 전후 좌우 방향의 힘이 접지면에 작용..

점도지수(VI ; viscocity index)

1 점도지수 개요  1) 점도지수 정의    - 유압유는 온도가 변하면 점도도 변하는데 온도변화에 대한 점도 변화의 비율을 말한다. 2) 점도지수의 판단   - 일반적으로 온도에 따른 오일의 특성 변화가 적은것이 우수한 오일이라고 평가한다.      * 오일의 점도와 온도의 관계를 나타낸 것으로 일반적으로 온도가 상승하면 오일의 점도는 낮아지고 높아지면 점도가 낮아지는데, 점도지수가 높다는것은 온도의 변화에 대한 점도변화가 적다는 의미를 가진다.    - Viscocity Index ; VI지수로 표현된다.    - 점도지수는 나프탄계 걸프만 원유와 파라핀계 펜실베니아 원유의 중간으로 측정된다.      * 파라핀계열(펜실베니아)은 VI 가 높고 나프탄계(걸프만)는 VI가 낮다.  3) 계산 및 산출  ..

구름베어링(rolling bearing, 볼베어링/롤러베어링)

1 구름베어링 개요 1) 구름배어링 정의   - 내외륜, 롤러, 리테이너로 구성되며, 내륜과 외륜사이 회전접촉을 시켜서 마찰을 최대한 경감하는 장치. 2) 구름베어링의 적용   - 볼베어링과 롤러베어링이 있음    - 볼베어링(점접촉)보다 롤러베어링(선접촉)이 내하중이 크고 롤러베어링보다 슬라이딩 베어링이 내하중이 크다.     * 롤러베어링 이상을 고하중 베어링이라함    - 볼베어링과 롤러베어링의 마찰계수는 하중과 속도에 따라 변동이 작기 때문에 부하가 걸린 상태에서 출발과 정지가 빈번한 기계에 적합하다.  3) 베어링의 종류    - 원통롤러베어링    - 니들롤러베어링    - 자동조심베어링    - 테이퍼롤러베어링    - 스러스트 자동조심롤러베어링  4) 구름베어링의 특징    ① 장점    ..

리벳(rivet)

1 리벳(rivet) 이음  1) 리벳이음 정의    - 강판 또는 형강등을 영구적으로 결합하는데 사용되는 기계요소.  2) 리벳이음 특징    - 구조가 간단하고 잔류변형이 없기에 광범위하게 사용된다.    - 용접이음보다 간편하게 작업할 수 있으며 모재의 변형이 없다.      * 용접이 불가한 부위에 사용  3) 리벳이음 방법2 리벳이음의 강도와 효율  1) 리벳이음 강도   - 단일 전단면 리벳 강도   - 판의 가장자리 전단 강도   - 리벳 구멍사이 전단 인장강도   - 판 또는 리벳 압궤강도   - 판의 굽힘강도   - 핀의 굽힘저항과 리벳의 전단저항이 같다고 가정 2) 리벳의 지름과 피치    - 리벳의 지름 : 리벳에 작용하는 전당저항(Ws), 압축정항(Wc)가 동일하다고 가정   - 피..

로프전동(rope)

1 로프전동 개요 1) 로프전동 정의   - 축에 고정된 풀리의 림과 시브에 로프를 걸고 로프와 림과 시브사이의 마찰력에 의해 축에 운동과 동력을 전달하는 장치.     * 원동축(풀리림(pully)) : 주 동력원에 연결된 동력의 원천 도르래     * 종동축(시브(sheave)) : 로프를 매개로 동력을 전달하거나 로프를 안내하는 도르래 2) 로프전동시 사용되는 로프 종류    ① 와이어로프 : 가장 많이 사용되고 내구성이 우수하다    ② 가죽로프    ③ 섬유로프      - 대마로프      - 무명로프      - 함성섬유    ④ 와이어로프    ⑤ 강철의 철사를 꼬아서 만든 것으로 원거리에 있는 축의 전동 또는 하물 수송에 사용됨.    ⑥ 수명예측이 가능하고 대응 하중의 범위가 넓다.2 ..

하중의 종류

1 하중의 개요 1) 하중의 정의   - 물체가 외부로부터 힘을 받았을때의 힘을 외력(external force)이라하며 하중이라한다. 2) 하중과 응력의 차이   - 물체에 가해지는 작용부위에 따라서 구분한다.     * 외부로부터 받는 힘을 하중(load) - 물체 외부에 특정부분에 집중 또는 분포하여 외력을 가할 수 있으므로 면적과 관련 된 힘으로 작용.     * 물체 내부에 작용하는 내력을 응력(stress)  2 하중의 종류 1) 정하중(static load)    - 사하중(dead load) : 크기와 바향이 일정한 하중    - 점가하중(gradually increased load) : 극히 조용하게 천천히 어떠한 크기까지 가해지는 하중  2) 동하중(dynamic load)    ① 활..

응력집중

1 응력집중 개요  1) 정의   - 국부적으로 응력이 크게되는 것.     * 응력이 국부에서 크게되는 것을 응력집중이라 한다.     * 응력집중부에서의 응력과 평균응력과의 비를 응력집중률이라 한다.   - 공칭응력보다 크게 불규칙적으로 작용하는 응력으로, 단면의 치수와 형상의 변화에 따라 급격하게 변화하는 노치부 근방에 발생한다. 2) 응력집중의 발생    - 중앙작은구멍의 면.   - 직경이 급격하게 변화는 축.   - 응력집중은 인장과 비틀림에 주로 발생.   - 노치가 있는 경우에는 노치의 부근, 불연속부가 있는 경우는 불연속부 부근. 3) 응력집중의 경감   - 단면 변화를 완만하게 한다.    - 필렛 반지름을 크게만들어서 응력의 분포를 고르게 한다.    - 내부응력, 잔류응력, 열을력을..

일반구조용 압연강재(KS D 3503)

1 개요  1) 의미    - 강의 표기는 탄소함유량과 인장강도 정보를 활용하고 있다.      * SM45C : 탄소함유량 0.45%      * SS400 : 인장강고 34kgf.cm2  2) 범위    - 건축 다리 선박 차량 및 그밖에 구조물에 사용하는 일반구조용 열간압연강재에 대해 규정한다. 2 종류 및 기호  1) SS300    - 강판, 강대, 평강, 봉강    - P0.05%이하, S0.05이하    - 항복강도 205(16t 이하) / 195(40t 이하) / 175(40t 초과)N/mm2  2) SS400    - 강판, 강대, 평강, 봉강    - P0.05%이하, S0.05이하    - 항복강도 245(16t 이하) / 235(40t 이하) / 215(40t 초과)N/mm2  3)..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