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
기계공학/기계공학일반 57

인버터(inverter)

1개요  1) 전기적 정의    - 직류를 교류로 변환하는등의 역변환의 역할을 수행하는 장치.      * 직류 → 교류 변환 : 역변환(逆變換) ▶ 인버터(inverter)      * 교류 → 직류 변환 : 순변환(順變換) ▶ 컨버터(converter)  2) 산업설비로의 정의    - 인버터는 주파수를 바꾸어 모터의 회전속도를 바꾸는 장치.    - 펌프모터, 쿨러, 크레인 트롤리 구동장치 등에 응용 적용됨.  3) 동작원리    - 직류에 연속적으로 온(on)·오프(off) 시킴(단속(斷續))으로 교류를 얻을 수 있음.    - 인버터 전환방법을 이용하여 교류전동기의 속도 조절 장치를 만들 수 있음.      * 구조가 간단하고 보수(保守)하기에도 용이한 구조적 특징을 가짐.  4) 인버터 회전속..

냉매

1 개요  1) 냉매(Refrigerant)의 정의    - 냉매는 냉각시킬때 열을 전달하는 물질을 뜻함  2) 냉매의 기능    - 일반적으로 냉동기기 내부에서 냉각사이클을 순환하면서 저온부에서 기화하여 주위에 열을 흡수하고 고온부에서 응축하여 열을 방출하는 매개체.    - 냉각 사이클을 순환할때 기체에서 액체등으로 상-전이(Phase transition)를 일으키는 냉매를 [1차 냉매]라 함.    - 상변화 없이 단상 상태에서 저온부와 고온부 사이에 열을 교환하는 냉매를 [2차 냉매]라 함. 2 냉매의 종류  1) 냉매의 변천   ① 1세대 : 암모니아       - 우수한 열역학적 특성 높은 효율, 인체에 유해하여 사양됨.    ② 2세대 : 염화불화탄소(CFC 프레온가스)       - 안정적..

냉각수(부동액)

1 개요  1) 정의    - 엔진(외 연관부품, 라디에이터 등, 피대상물)의 열을 낮추어 열적 변형 및 악영향을 제거하는 매체.    - 겨울철 냉각수가 어는것을 방지하기 위해 냉각수에 녹는점(어는점)을 낮춰주는 역할    - 부동액으로도 부름.    - 주요 구성성분으로 에틸렌글리콜을 일반적으로 사용하며 냉각성능 및 방청성을 개선하기 위해 첨가물을 추가함.      * 모노-에틸렌글리콜(MEG)(약93vol.%)를 기본으로 하며 그다음 부식방지제(5~7wt.%)를 첨가함      * 첨가제로 규산염 안정제, 기포방지제, 변성제, 윤활제(히터밸브의윤활용), 색소등이 첨가됨      * 연수(軟水;softwater)와 혼합하여 사용  2) 냉각수(부동액)의 종류    ① 에틸렌글리콜      - 에틸렌글..

도장(painting)

1 개요  1) 도장의 목적    - 반제품인 도료가 완제품인 견고한 도막을 형성하기 위한 수단    - 도막화는 피도물의 수명유지에 기여하고, 미려한 외관을 부여하며, 특정한 기능을 부여함.  2) 도장의 특성    - 도장의 목적과 효과를 위해 주의사항이 필요.      * 피도물에 따른 도장방법 고려 필요      * 도료 종류 따른 도장방법 고려 필요      * 도장환경에 따른 도장방법 고려 필요 2 도장의 절차  1) 도장을 위한 설비   - 도료 : 믹싱룸, batch   - 전처리 : 전처리제, 전처리장치   - 도장장치 : 도장기기(스프레이, 에어), 부스   - 건조장치 : 열풍건조로, 적외선 건조로   - 품질관리 : 점도계, 도막두께측정기, 색차계등  2) 도장 공정    ① 전처리..

극저온

1 개요 1) 정의   - 광의로 90K 이하, 협의로 4.2K 이하의 온도 범위     * 액체산소의 끓는점 90K 기준     * 액체헬륨의 끓는점 4.2K 기준 2) 특징   - 열운동의 방해없이 양자효과를 거시적으로 관찰할 수 있다.      * 원자의 열운동의 거의 없어지고 열운동에 의해 가려진 양자효과가 거시적 물성현상으로 관측된다.    - 초유동, 초전도현상등 상온에서 볼수없는 현상이 발생한다.     * 초유동(superfluid) : 점성과 표면장력이 전혀없고 흐를때 소용돌이가 존재하지 않는 액체 상태 2 극저온의 구현  1) 원리   - 기체를 냉각하여 액화하는데 단열팽창을 일반적으로 이용한다. 하지만 절대0도에 가까워지면 능률이 악화된다.   - 일반적으로 극저온은 줄-톰슨효과에 의..

내연기관(internal combustion engine)

1 개요  1) 정의    - 기관 내부로 공급된 연료를 연소시켜 열에너지의 힘으로 피스톤을 상하 왕복운동하여 기계적에너지를 만드는 에너지 변환장치.    - 외연기관 : 기관 외부에 따로 설치된 연소장치에 연료가 공급되어 작동유체를 가열시키고 상변화된 유체를 실린더로 유입시켜 기관을 작동시키는 장치      * 증기기관, 증기터빈  2) 특징    - 소형경량이며 열효율이 높다.    - 윤활과 냉각을 위한 별도의 공급 시스템이 필요하다.    - 종류에 따라서 엔진 종류 및 품질 정도에 영향을 미친다.    - 자기시동이 불가능하여 시동장치 필요하다.    - 왕복형의 경우 충격과 진동, 소음이 크다. 2 내연기관의 작동  1) 작동방식    ① 2행정기관      - 팽창.배기행정 → 소기행정   ..

절대일과 공업일

1 절대일 1) 정의   - 시스템의 경계가 변화하는 경우 수반되는 일, 이동경계일(boundary work)   - 일반적으로 팽창하는 일을 뜻 함. 2) 계산   - pdV 적분   - 일반적으로 정압변화(등압)     * 절대일(1W2) = ∫pdV = p(V2-V1) = mR(T2-T1)     * 공업일(Wt) = -∫Vdp = 0     * 내부에너지변화(du) = mCv(T2-T1)     * 엔탈피변화(dh) = mCp(T2-T1)     * 열량(1q2) dq = du + pdV = dh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1q2 = (h2-h1) = mCp(T2-T1) 2 공업일 1) 정의    - 체적변화와 관계없는 축 일.   - 일반적으로 계가 압축할때(압력변화일) 수행되는 일을..

반응형